PRESSURE REDUCING CONTROL CALVE [실용신안제20-0424132호]
■ PRESSURE REDUCING CONTROL VALVE의 선택
1. 일체형
MAIN VALVE(1)와 PRESSURE REDUCING CONTROLLER(3),
REGULATOR(4)가 결합되어 배관에 설치되는 형태
2. 원격조절형
MAIN VALVE(1)와 PRESSURE REDUCING CONTROLLER(3),는 배관에 직접 설치되고
REGULATOR(4)는 조작하기 쉬운 곳에 위치시키는 형태
3. 일체형의 ON/OFF식
일체형에 SOLENOID VALVE(5)를 결합한 형태로 전기적 조작이 가능해진다.
4. 원격조절형의 ON/OFF식
원격조절형에 SOLENOID VALVE(5)를 결합한 형태로 전기적 조작이 가능해진다.
Main Valve (자사 생산제품)
▶ 공창구경 : 40 ~ 1000A
▶ 최대사용압력(1차) : 20kg f/㎠
10kg f/㎠ for 650mm이상
▶ 최대사용온도 : -20 ~ 600℃
▶ 적용유체 : 공기, 온수, 증기, 유류, 불활성가스 등
I
I
I
I
I
I
I
I
I
구동기사양
▶ 공급압력 :2.5 ~ 10Bar
▶ 사용온도 :-20 ~ 80℃
레귤에이터 사양
▶ 설정압력범위 : 0.005 ~ 0.8Mpa
▶ 사용온도 :-5 ~ 60℃
■ 설치시 고려사항
1. 1차압력, 2차 압력
2. 공기압력(콤프레셔 압력) : 밸브조절압력
* ON/OFF식일 경우 : 사용전압 (SOLENOID VALVE)
■ 작동원리
MAIN VALVE(1)를 통해 감압된 2차 압력
(P2)은 2차 압력감지관(F)을 통하여 파이
롯트 다이아프램(B)에 작용한다.
이 감압된 2차 압력(P2)은 파이롯트 다이
아프램 상부에 설치된 압력조절 스프링(S)
및 REGULATOR(4)에 의해 설정된 압력과
대응하여 2차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2차 압력(P2)이 상승하면 P2 > P3+S 파이롯트 다이아프램(B)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압력조절스프링(S)을 밀어올려 닫혀있던 AIR조절판(P)을 열게된다. 그러면 엑츄에이터에 공급되던 밸브조절압력(P1)이 AIR방출구(G)를 통해 밖으로 방출되어 액츄에이터(2)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MAN VALVE를 닫아 2차압력(P2)의 상승을 억제 시킨다.
----------------------------------------------
2차 압력(P2)이 하강하면 P2 < P3+S 압력이 상승할 때와는 반대로 파이롯트 다이아프램(B) 내부 압력이 하강하여 압력조절 스프링(S)을 내리밀어 AIR조절핀(P)를 닫게 된다. 그러면 엑츄에이터(2)에 공급되어 백브 조절압력(P1)을 유지시켜 MAIN VALVE(1)를 열어 하강하는 2차입력(P2)를 상승시킨다.
■ 조작방법
① MAIN AIR 공급압력을 감안하여 REGULATOR(4)
에 조절압력(P3)을 설정해 준다.
② 요구되는 2차 압력(P2)을 설정하기 위해 압력조절
손잡이(H)를 조작하여 2차 압력을 맞춘다.
③ 2차 압력을 설정하는데 있어 미세조정이 요구될
경우에는 1, 2를 실시한 후 REGULATOR(4)만을
조직하여 2차 압력을 맞춘다.
[예시]
콤프레셔의 평균압력이 5~7K이고 1차 압력이 10K, 2차 압력이 5K라고 할 때, REGULATOR의 조정압력을 2K로 맞추고, 나머지 3K의 압력은 압력조절손잡이로 조절하여 맞추어 요구하는 2차 압력 5K를 맞춘다. 조정압력을 2K로 맞추는 이유는 일정한 압력을 공급ㆍ유지 할 수 있고,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조정압력 변경에 용이 하기 때문이다.
▶ 기존의 산업용 PLANT, 기계설비, 복합건물, 산업체 배관라인의 감압설비 목적용으로 개발하였으며, 미세조절 및 고압의 스팀과 물 등 기타 유체의 감압밸브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