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설명
플라즈마 질화기술은 낮은 온도에서 질화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열변형이 적어 정밀한 열처리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처리품에 직접 전압을 인가하므로 아크발생과 모서리 부분의 과열과 처리품의 불균일한 문제점들이 플라즈마 질화 기술발전을 저해해왔다.
당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질화장치는 처리품에 직접적으로 고전압을 인가하지 않으므로 기존에 발생했던 플라즈마 질화의 문제점들을 피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가스질화와 같이 처리품의 형상과 크기, 강종의 제약 없이 처리품들을 쉽게 질화할 수 있다.
본 장치의 또 하나의 장점은 히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스크린에 의해 가열하고 그때 가열 되어진 입자들이 이동하여 처리품을 가열하는 방식이다. 설비내에 설치된 스크린이 음극으로 작용하여 더욱더 강력한 질화원자를 생성하고 또한 열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시편에 직접 부하를 걸지 않기 때문에 형상과 모양에 관계없이 대량 처리 가능 → 이온 질화법의 품질과 가스 질화의 특징인 대량 생산이 가능
-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스크린(Net)이 히터 역할을 하고 스크린이 작업공간을 전부 둘러싸기 때문에 균일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 처리품에 sputtering 현상이 제한되어 경면 질화 처리 가능
- hole, slit에 질화처리가 가능 (기존 질화에서는 불가능)
- 화합물층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고 화합물층이 없는 확산층만의 질화가 가능
- 플라즈마 형성망의 설계에 따라 플라즈마 전류 밀도를 높여 질화능을 향상
- 특수 가스와 다양한 표면 활성화 방법을 사용하여 질화능을 높여 스테인레스강 등에 질화가 용이함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내식성의 저하없는 S-Phase 처리
ISPN | Radical N | Ion N | Gas N | |
---|---|---|---|---|
Surface roughness | ◎ | ○ | △ | × |
No compound layer (C.L.) | ◎ | ◎ | △ | × |
The formation of C.L. | ◎ | ◎ | ◎ | ◎ |
Nitriding of complicate shape | ◎ | ○ | △ | ○ |
Removal of hardening layer | ◎ | ◎ | △ | × |
Improvement of fatigue property | ◎ | ◎ | ○ | △ |
Duplex process with other coating | ◎ | ◎ | △ | × |
S-phase nitriding | ◎ | △ | ○ | × |
Uniformity of the temperature | ◎ | △ | △ | ◎ |
Productivity | ○ | △ | × | ◎ |
합금공구강 | SKD61, SKD11 |
---|---|
고속도 공구강 | SKH51, SKH57, HAP50 |
프리 하이든강 | HPM1, HPM50, NAK55, NAK80 |
질화용합금강 | SACM645 |
스테인레스강 | STS304, 316, 420, 440, 430, 630 |
주강용소재 | HK600, 700 |
합금강 | SCr SCM440 |
저탄소강 | SPCC SPHC S10C S45C |
내열강 | SUH1, SUH2, SUh3 |
- 온, 열간 단조 금형
- 다이캐스팅 금형
- 플라스틱 사출금형
- 프래스금형 (pvd코팅 duplex처리)
- Cr, Zn도금 대용의 내산화성 기능 부품
- 고경도, 내마모성을 요구하는 부품, 금형
- 내피로, 내소착성을 요구하는 부품, 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