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품 판매중
PE 이중벽관
가격 가격협의
모델명 PE 이중벽관
제품분류 밸브/배관자재
업체명 푸른나래(주)
전화번호 0504-0667-6642
등록일 14.03.03
상세설명

Double-Wall-Pipe_Top_img.jpg

우수한 내.외압강도

고강도 PE 이중벽관은 내, 외면이 평활한 이중벽 구조로서 토압, 윤압 등 외압에 대하여 우수한 저항력을 지니고 있다.

우수한 내부식성 및 내구력

관의 재질이 자외선 안정제와 산화방지제가 혼합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제조되어 산, 알칼리 등의 화학약품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산업폐수. 오수. 해수 및 토양의 각종미생물에도 잘 견디는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는 파이프이다.

연약한 지반에서의 부등침하에 안전

우수한 내.외압 강도를 가지면서도 유연성 및 탄력성이 뛰어나 연약지반의 부등침하에서도
안전한 파이프이다.

관 연결부의 누수방지

고강도 PE 이중벽관은 외면이 평활하며 다양한 연결방법으로, 완벽한 누수방지를 실현했다.

경량 및 취급, 시공의 간편성

고강도 PE 이중벽관은 타 배관자재에 비해 가볍고 운반, 취급이 용이하며 시공이 간편하므로 경제적이다.

고속도로 일반도로 터널 하천유역등의 매립지 암거집, 우. 오수 배수관
골프장, 운동장, 택지조성등 평활한 지역의 암거집, 우. 오수 배수관
조경단지, 채소재배단지, 과수원, 간척지 및 산간 농지정리용의 암거집, 우. 오수 배수관
기타 아파트, 주거지, 지하철, 공원, 경기장 등 시가지 집, 배수시설용

호 칭
KS M 3500-1 (KS)
호칭
KPS M 2009 (단체표준)
150~200 SN 12.5 (KN/㎡)이상 SN 8 SN 5 (DP1) SN 4 SN 2 (DP2)
250~600
SN 8 (KN/㎡)이상
100~600
SN 8 (KN/㎡)이상
SN 4 (KN/㎡)이상
700~1200
SN 4 (KN/㎡)이상
700~1200
SN 4 (KN/㎡)이상
SN 2 (KN/㎡)이상

호 칭
내경(ID)
(mm)
PE 이중벽관 SN8 SN5 (DP1)
PE 이중벽관 SN4 SN2 (DP2)
외경(OD)
(mm)
관벽
두께(H)
(mm)
원강성
(KN/㎡)
최소강성
(kgf/c㎡)
(참고값)
외경(OD)
(mm)
관벽
두께(H)
(mm)
원강성
(KN/㎡)
최소강성
(kgf/c㎡)
(참고값)
D100
100
114
7
SN 13 이상
6.5
-
- - -
D150
150
176
13
SN 13 이상
6.5 172 12 SN 4이상 2.0
D200
200
228
14
SN 13 이상
6.5 224 12 SN 4이상 2.0
D250
250
280
15
SN 8 이상
4.0 278 14 SN 4이상 2.0
D300
300
338
19
SN 8 이상
4.0 328 14 SN 4이상 2.0
D350
350
394
22
SN 8 이상
4.0 380 15 SN 4이상 2.0
D400
400
450
25
SN 8 이상
4.0 438 19 SN 4이상 2.0
D450
450
508
29
SN 8 이상
4.0 494 22 SN 4이상 2.0
D500
500
562
31
SN 8 이상
4.0 550 25 SN 4이상 2.0
D600
600
678
39
SN 8 이상
4.0 662 31 SN 4이상 2.0
D700
700
788
44
SN 5 이상
2.5 778 39 SN 2이상 1.0
D800
800
900
50
SN 5 이상
2.5 888 44 SN 2이상 1.0
D900
900
1012
56
SN 5 이상
2.5 1000 50 SN 2이상 1.0
D1000
1000
1124
62
SN 5 이상
2.5 1112 56 SN 2이상 1.0
D1200
1200
1350
75
SN 5 이상
2.5 1324 62 SN 2이상 1.0
1. 관의 길이는 4m 또는 6m를 표준으로 하며 기타 길이는 당사자간의 협의에 따른다.
이때 허용오차는 +2%, -0%이다.
2. 내경 허용오차는 D100~D150 : ±4.5mm, D200~600 : ± 5.1mm, D700~D1200 : ± 6.4mm이다.
3. 관벽 두께 허용오차는 D150~D250 : ± 8%, D300~D1200 : ± 5%이다.
4. 외경 허용오차는 내경 허용오차와 관벽 두께 허용오차를 계산한 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