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품 판매중
교좌장치
가격 가격협의
모델명 탄성받침B
제품분류 설비 기타
업체명 (주)부흥시스템
전화번호 0504-0667-6931
등록일 14.02.19
상세설명

 
 

탄성받침은 내부에 1개 이상의 강판을 보강하여 압축변형 시 고무측면의 팽출 현상을 억제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킨 받침으로 교량받침으로 주로 사용한다.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제질로 하는 탄성받침은 별도의 다른 부품이 필요 없이 설치 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형식의 것이며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설치 높이가 낮고 특히 설계가 간단하다. 고무와 고무 사이에 보강용 강판을 층상으로 설치하여 수직하중은 고무의 좌굴 현상이 없이 지지하고, 수평하중은 고무의 유연성에 의해 상부 구조물의 고유주기를 길게 하므로서 수평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 시키는 개념의 내진 설계용 받침이다.

탄성받침은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사하중, 활하중을 하부구조의 기초지반에 정확히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며 (하중전달기능), 상부구조의 하중재화,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크리이프, 건조수축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신축, 지진 시 상/하부 구조간의 상대 변위를 원활히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며 (신축기능), 활하중 등 하중의 재하에 의해 발생하는 상부구조의 휨 등, 상·하부공지점에서의 회전변위를 원활하게 흡수하는 기능 (회전기능) 등을 가진 교량받침이다.

한편, 상·하부판에 설치된 쐐기는 풍하중 및 제동하 중등에 의한 사용상태에서의 과도한 변위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진하중에 대하여는 쐐기가 탈락되는 개념을 갖는다.

탄성받침은 도로공사에서 발주하는 PSC 교랑 및 고속철도용 교량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내구성 측면에서나 경제성.시공성 및 유지관리 등에 있어서 이점이 재평가되고 사용범위도 확대 권장되고 있어 장래에도 폭 넓은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탄성받침은 하중전달이 효율적이며, 다른 받침에 비하여 차량의 충격하중 및 소음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여 상시 사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무의 전단변형에 의한 이동과 회전이 자유로운 받침이다. 또한, 부식이 거의 없어 유지관리에 큰 어려움이 없으며 시공이 간편한 경제적인 받침으로 지진시에 하중배분을 도모한다.

이러한 탄성받침은 고무만을 사용재료로 하는 순수 탄성고무받침과 내부에 1개 이상의 강판을 보강하여 압축 변형시 고무측면의 팽출

현상(Bulging)을 억제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킨 적층 고무받침으로 구분할 수 있다. KS-F 4420(탄성받침 KS규정)에 규정된 탄성받침의 형식은 A형~F형으로 6가지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탄성받침의 형식은 B형 탄성받침으로 최소 2개 이상의 보강 강판을 탄성중합체로 완전히 덮은 적층 탄성받침이다.
 
B형 탄성받침은 탄성중합체가 단순히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놓여 있어 탄성받침 상하부 플레이트와 고무패드 접합면의 마찰력으로 고정되게 되어 있다.
 

- 하중전달이 효율적이다.
- 광폭 사교 및 곡선교에 유리하다.
- 전단변형에 의한 이동과 탄성변형에 대한 회전이 자유롭다
- 지지하중은 하중 접촉 면적과 재료의 강도에 따라 8 ~ 3,0000kN 까지 가능하다.
- 유지관리 및 시공이 간편하다.
- 경제적이다.

 

1. 기능상 종류
 1) 완전 가동받침
  상부구조는 처짐으로 인한 회전외에 온도변화, 크라이프, 건조수축에 의한 교축방향 및 교축직각방향에 신축을 받는다.
  이러한 수평방향의 신축과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받침을 가동받침이라 한다.
 2) 완전 고정받침
  상부구조의 신축과 회전중 신축을 구속한다. 즉 교축방향 및 교축직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나
  단지 회전을 구축하지 않는 받침을 고정받침이라 한다.
 3) 반 고정받침
  상부구조의 탄성, 소성변형 및 온도 변화 등의 원만한 변형에 대해서는 가동받침의 기능을 가지며
  지진시의 수평력에 대해서는 고정 받침의 기능이 있는 받침을 반 고정받침이라 한다.

2. 이동방향별 종류
 1) 고정단 (O.F - Omnilaterally Fixed)
 2) 교축방향 가동단 (T.F - Transversal Fixed)
 3) 교축직각방향 가동단 (L.F - Longitudinal Fixed)
 4) 전방향 가동단 (F.R - Multi Direction Free M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