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품 판매중
무정전 전원장치(UPS)
가격 가격협의
모델명 H-시리즈
제품분류 UPS/AVR/변압기/콘덴서/트랜스
업체명 페어스톤코리아
전화번호 0504-0667-7379
등록일 14.01.29
상세설명

::::::: 무정전전원장치(UPS)란 무엇인가?  :::::::


 

■.......무정전 전원 장치는 어떠한 경우에도 중단되지 않고 연속으로 전기를 공급하여 주는 전원 장치를 말합니다. 정상 공급되던 전기가 갑작스럽게 중단될 경우 전기로 동작하는 모든 기기들은 일순간 꺼져 버립니다. 그리고 다시 전기가 공급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됩니다. 그런데 이런 동작 상황에서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기들은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아주 중요한 데이터가 동작 중에 정전이 발생되면 작성중의 데이터 손실, OS 파괴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됩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정전의 수는, 평균 1년간 1회 이하라 가정해도, 한국의 전력 사정은 아주 좋다고 생각 되지만, 낙뢰등으로 송전 계통을 절체 때에 생기는 순간 정전은 이 중에 포함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년간 상당한 횟수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365일 컴퓨터 및 네트워크를 정전의 트러블로부터 계속 지키는 UPS는, 기업에 있어 확실한 동반자라고 말할 수 있는 존재인 것입니다.........................

 

 

 

 

■.......요즘 들어서는 정전에 대응하기 보다는 보다 고품질의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더 많습니다. 즉 물로 말하자면 정수기적 역할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우리가 물 속에 들어있는 각종 유해물질들을 정수를 통하여 걸러내는 것처럼 UPS에서는 유입되는 전기에 함유된 각종 유해 전기적 요소를 차단하여 줍니다. 차단 능력 즉 필터 능력은 각제품마다 그 차이가 많이 나므로 환경에 맞는 적당한 UPS를 고를 줄 아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UPS를 잘 사용하면 정전, 서지, 스파이크, 새크,등의 전원 장애가 컴퓨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시스템이 작업 중이거나 저장 중인 데이타를 분실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잘못된 UPS 선정으로 오히려 피해를 보는 경우도 많이발생하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최근의 기술 동향은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정보 교환으로 자동으로 안전하게 컴퓨터의 자료를 종료시킬 수 있습니다.........................................

 

 

::::::: 기/본/상/식 :::::::


 


 

 

무정전 전원 장치란 무엇인가?
 

1. 전원 환경 이해
2. 무정전 전원 장치 필요성 분석

+ 무정전 전원 장치란 ?

+ 얼마나 자주 전원 장애가 발생하는가 ?

+ 전원 장애로 인하여 컴퓨터에 발생하는 문제는 ?

+ 진정으로 이런 문제들이 전원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일까 ?

+ 무정전 전원 장치를 사용하면 무엇이 달라지나 ?

+ 무정전 전원 장치는 왜 필요한 것인가 ? 

+ 무정전 전원 장치에 있는 자동 전압 조정 기능의 진상은 ?

  


무정전 전원 장치 기술 구분
 

1. 온라인/오프라인/라인 인터랙티브
2. 무정전 전원 장치의 주요 개념 이해
+ VA와 W(Watts)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 스마트(Smart) 무정전 전원 장치란 무엇인가 ?
+ 모니터링 및 자동 종료 프로그램은 사용해야 하나 ?
+ 무정전 전원 장치의 프로그램은 다른회사의 제품에도 적용 가능한가 ?
+ 무정전 전원 장치의 백업 시간이 궁금하다 ?
+ 무정전 전원 장치에 연결하지 말아야 할 장비는 ?
+ 절체 시간이란 무엇인가 ?
+ Buck와 Boost란 무엇인가 ? 
 


무정전 전원 장치 도입 요령
 

1. 백업 시간 산정의 비밀
2. 관리 프로그램 도입

+ 무정전 전원 장치의 한계성

+ 프로그램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

+ 송수신 방식과 접점 방식의 인터페이스 비교
 


무정전 전원 장치 프로그램
 

1. 기본 개념
2. SNMP 장비를 통한 관리

3. 지원하는 운영 체제

+ MS Windows 계열

+ NOVELL NetWare 계열

+ IBM OS/2
+ Unix 계열  
 

 

 

무정전 전원 장치란 무엇인가?


 

1. 전원 환경 이해 (위험에 노출된 컴퓨터 작업 환경)

    컴퓨터 바이러스가 컴퓨터의 데이타 손상이나 하드웨어 손상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물론 최근 들어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 바이러스가 극성을 부리고 있어서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많은 연구 보고서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정확한 사실은 전원 장애가 원인이 되어 생긴 문제가 가장 많고 보다 더 치명적이라는 것입니다. 컴퓨터 제조 업체가 자사의 컴퓨터 A/S 원인을 조사한 결과 60%에 해당하는 고장이 바로 전원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아마 여러분은 믿으려 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국전력의 전원이 정전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항상 깨끗하고 안전한 형태의 공급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다릅니다. 일년에 몇번 발생하는 정전이나 전구의 깜빡임같이 여러분의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극히 일부분의 전원 장애가 모든 전원 장애가 아닙니다. 실질적으로 아주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 거의 대부분의 전원 장애는 정밀 계측 장비만으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순간 전원 라인을 타고 유입되어 점진적인 장비 손상을 가져 옵니다. 즉, 매월 수백번의 전원 장애에 여러분의 컴퓨터는 완전히 노출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10년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장비가 경우에 따라서 3년도 못쓰고 노후되어 버리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2. 무정전 전원장치 필요성 분석

    무정전 전원 장치란 ?
    무정전 전원 장치는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동작 불능을 유발하는 전원 장애가 컴퓨터나 시스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전과 컴퓨터 전원 사이에 설치하는 전원 공급 장비입니다. 특히 정전, 서지, 스파이크, 새크,등의 전원 장애가 컴퓨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시스템이 작업 중이거나 저장 중인 데이타를 분실하지 않도록 합니다. 정전이 발생할 경우는 내부에 충전된 전지가 있어 전원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합니다. 최근의 기술 동향은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정보 교환으로 자동으로 안전하게 컴퓨터의 자료를 종료시킬 수 있습니다.

    얼마나 자주 전원 장애가 발생하는가 ?
    대부분의 컴퓨터 사용자가 알고 있는 유일한 전원 장애는 바로 정전이며 이것이 전원 장애의 전부이며 바로 이 이유때문에 무정전 전원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일부 사람들은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입하는 것이 쓸모없는 단지 사치스런 장비 구입이라고까지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정전은 수많은 전원 장애 중에 하나일뿐이지 전부가 아니다. 통상적인 사무실에서 발생하는 전원 장애는 일년에 수백번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모든 전원 장애들이 평상시에 컴퓨터에 점진적인 악영향을 미치다가 최악의 경우에 컴퓨터나 저장된 데이타를 손상시켜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여러분은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입하므로서 일년에 몇 번 발생하는 정전뿐만 아니라 일년에 수백번 발생하는 전원 장애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무정전 전원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전원 장애로 인하여 컴퓨터에 발생하는 문제는 ?
    전원 장애는 시스템 고장,파일 손상, 비정상적인 소프트웨어 에러, 하드웨어의 손상 및 빠른 노화 등을 초래합니다. 단순하게 수십 분의 일초동안 지속되는 전원 장애만으로도 컴퓨터의 데이터, CPU, 마더보드 등이 충분히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서버의 전원 장애로 서비스가 중단되면 서버에 연결하여 작업 중이던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게 됩니다. 그 중에도 현금 지급이나 온라인 송신 중에 장애가 발생하면 너무나도 그 피해가 커서 아주 치명적이며 복구하기도 대단히 어렵습니다. 얼마전에 어느 지방 도시에서 발생한 정전 피해는 공장의 생산 라인을 일시에 중단시켜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입히기도 하였습니다. 정전으로 인한 업무 중단이 가져오는 피해는 아주 복합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경제적, 인적 손실을 가져온다는 것입니다.

    진정으로 이런 문제들이 전원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일까 ?
    아래의 내용들은 최근 몇 년동안 각종 전문 매체를 통하여 발표된 경험에 입각한 보고서들입니다. 우리는 바로 여기서 전원 장애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내셔널 파워지

    일년에 대략 289번 정도의 전원 장애로 통상적인 컴퓨터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IBM 보고서

    통상적인 컴퓨터는 한달에 120번 이상의 전원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휴렛 패커드

    컴퓨터 기기의 서비스 요청 중 60% 정도가 전원 장애가 원인으로 발생한 문제였다.

    인디펜던트 보고서

    전원 장애로 인하여 발생한 데이타 분실이 50%에 이르고 있다.

    Trade Weekly PC

    회사에서 전원 장애는 컴퓨터 데이타 손실이 가장 크고 유일한 원인이다.

    KPMG

    66% 정도가 경험한 종종 발생하는 심각한 시스템 고장의 절반 정도가 전원 문제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다.

    National Computing Center

    시스템 고장의 28%가 전원 장애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고 평균적인 피해액은 170만원 정도이다.

    양키 그룹

    시스템 고장으로 통상적으로 시간당 150만원 정도의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심각한 것은 9% 정도가 시간당 6000만원 이상의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다.

    무정전 전원 장치를 사용하면 무엇이 달라지나 ?
    무정전 전원 장치는 우리가 위에서 언급한 모든 전원 장애로부터 컴퓨터나 관련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정전이 발생하면 내부 배터리를 통하여 백업 전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보다 중요한 것은 무정전 전원 장치의 내부에 있는 각종 보호 회로와 부품들은 전원 장애가 컴퓨터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차단시켜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정전 전원 장치를 사용하는 컴퓨터는 다음과 같은 전원 장애로 발생하는 피해를 없앨 수 있고 돈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1. 정전으로 인한 데이타 손실

    2. 갑작스런 전원 장애로 인한 시스템의 스트레스와 손상

    3. 전원 장애가 가져온 업무 중지및 지연으로 인한 인건비 손실

    4. 손실된 데이타를 재작업하는데 따른 인적 물적 피해

    5. 온라인 서비스나 공장 가동 중단으로 인한 이미지 손상

    무정전 전원 장치는 왜 필요한 것인가 ? 

    [무정전 전원 장치가 하는 일]
    서지 차단
    불규칙한 전원의 안정적인 출력
    새그 발생시에도 지속적인 전원 출력
    정전 시에 백업 전원 출력
    백업 시간 이상 정전 지속 시에 자동 종료

    간혹 자동 전압 조정기나 서지 프로텍터를 구입하면 되지 뭐하러 비싼 돈을 들여 가며 무정전 전원 장치를 사느냐고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서지 프로텍터나 자동 전압 조정기는 단순히 하나의 기능만 수행할 뿐 다른 전원 장애에 대하여는 아무런 대처도 하질 못합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는 모든 전원 장애에 대하여 포괄적이고 완벽한 전원 보호를 수행합니다. 그래서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입하는 것입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에 있는 자동 전압 조정 기능의 진상은 ? 
    먼저 온라인 방식에는 자동 전압 조정 기능이 없습니다. 왜냐면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과 전혀 다른 형태로 이미 정전압 정주파수로 출력되기 때문입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에 포함된 자동 전압 조정 기능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오프라인 방식의 제품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전문적인 자동 전압 조정 장치와 그 제작 의도가 근본적으로 전혀 다릅니다. 오프 라인 방식에서는 입력 전압 변동이 심하게 변하면 인버터 모드로 전환하여 출력을 내보내야 하는데 이런 일이 자주 발생하면 배터리의 수명이 상당히 짧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일정 입력 전압 변동 범위 안에서는 인버터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내부 전압 조정 기능을 통하여 시스템에 이상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안정화시켜 출력을 내보냅니다. 그러면 정전의 경우에만 배터리를 사용하게 되므로 배터리의 수명이 상당히 길어지게 됩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자동 전압 조정 기능이 무정전 전원 장치에 들어가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주 전압 강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지역이라면 자동 전압 조정 기능이 들어 있지 않는 제품도 좋습니다. 오히려 인버터 모드로 출력할 경우가 전압이 더 안정적입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 기술 구분


 

1. 온라인/오프라인/라인 인터랙티브
 


[
온라인 방식 ]

무정전 전원 장치는 정전이나 전원 장애가 발생하여 한전 전원 공급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도 내부 백업 배터리를 통하여 컴퓨터나 전자 기기에 지속적인 전원 공급을 하여 주는 장비입니다. 그리고 사용하는 기술적인 성격에 따라 온라인/오프라인/라인 인터랙티브 방식으로 대별됩니다.

온라인 방식의 무정전 전원 장치는 기본적으로 항상 입력 전원이 두 번의 전환을 거쳐 출력되므로 입력 전원의 변동이 줄력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러나 두 번의 전원 전환을 위하여 보다 복잡한 회로 설계 및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격이 무척 비쌉니다. 그리고 절체 시간이 없기 때문에 성능은 아주 월등히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고가의 정밀 장비 보호용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품질과 출력 파형

UPS의 출력 전기의 파형은 UPS 가격과도 연관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간혹  품질의 척도로서 파형을 아주 중요시하는 분들이 많은데 품질과 파형은 전혀 무관하고 파형은 제품용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품질의 척도는 제품을 어떤 업체에서 어는 정도의 고품질로 만들었는지를 살펴 비교하여야 할 것이다. 스위칭 파워에는 온라인 방식에 비해 가격이 월등히 저렴한 고품질의 구형파가 더 좋다.

 


[
오프라인 및 라인 인터랙티브 방식 ]

오프라인 방식의 무정전 전원 장치는 평상시에는 한전의 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다가 만약 한전의 공급의 일시 중단되거나 전원 장애가 발생하면 내부의  인버터를 사용하여 출력 전원을 내보냅니다. 다시 복전되거나 전원 장애가 해제되면 인버터 출력을 중지하고 한전 전원을 출력합니다. 오프 라인에서는 한전에서 인버터 모드로 전환되는데 약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때의 시간을 바로 절체 시간이라고 부릅니다. 정상적인 절체 시간은 2ms에서 10ms 시간 이내인데 품질이 나쁜 제품은 절체에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문제가 많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오프 라인의 제품을 구입하실 때에는 반드시 품질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거친 제품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라인 인터랙티브 방식의 무정전 전원 장치는 오프 라인과 온라인 방식의 제품이 가진 장점만을 취합하여 만든 경제적인 측면에서 아주 유용한 제품입니다. 오프 라인 장비는 심한 입력 전압 변동이 생기면 바로 인버터 모드로 바뀌어 배터리를 소모하므로 이런 일이 자주 발생하면 배터리의 수명이 현격하게 줄어듭니다. 그런데 라인 인터랙티브 방식은 여기에 온라인적 성격인 전압 조정 기능을 추가하여 심한 입력 변동이 발생하여도 자동으로 전압을 조정하여 출력하여 내보내므로 배터리의 사용률이 줄어듭니다.다시 말해 배터리의 수명이 월등히 길어지게 됩니다.

 

 

 

2. 무정전 전원 장치의 주요 개념 이해 

    VA와 W(Watts)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무정전 전원 장치는 전통적으로 출력 용량을 전압(Volt)와 전류(Amp)의 곱인 VA로 사용하고 있으며 W(Watt)는 무정전 전원 장치에 연결되는 부하의 용량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W와 VA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W = VA×0.6(또는 0.7)


VA와 W의 관계

배터리와 같은 직류 전기는 전압(V)과 전류(A)를 곱한 값이 전력(W)가 됩니다. 즉 VA=W입니다.그러나 교류 전기의 경우는 VA=전압(V)×전류(A)가 되질 않고 W=V×A×COSΦ가 됩니다. 컴퓨터와 같은 기기의 COSΦ는 0.6~0.7이 대부분이다. 모터나 다른 교류 기기들도 그 특성에 따라 이 값이 달라지므로 용량 계산을 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흔히들 UPS에서 표기하는 VA를 W라고 말하시는 분들이 상당수 있으신데 이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반드시 VA(브이에이)라고 말씀하셔야 합니다.

 

    스마트(Smart) 무정전 전원 장치란 무엇인가 ?
    미국의 APC사의 제품명이 바로 스마트 무정전 전원 장치였으나 현재는 많은 업체들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고 각종 전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컴퓨터를 통해서 볼 수 있는 무정전 전원 장치를 이렇게 부르고 있습니다. 한편 통신 기능은 가지고 있으나 정전,저전압,등의 단순 정보만 교환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장치는 인텔리젼트 무정전 전원 장치라고 부릅니다.

    모니터링 및 자동 종료 프로그램은 사용해야 하나 ?
    정전이나 기타 전원 장애로 인하여 배터리의 백업 전원으로 전원 공급을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 언제 어떻게 컴퓨터 시스템을 종료시켜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대한 일입니다. 또한 관리자나 컴퓨터 사용자가 전원의 이상 증상을 감지하여 자신의 판단으로 어느 시점에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상황에서는 별 문제가 아니겠지만 만약, 아무도 없는 상황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무정전 전원 장치의 의미가 없어집니다. 왜냐면 단지 일정 백업 시간 동안만 전기를 공급하다 배터리가 다 소모되면 일방적으로 전기 공급을 중단하여 버리기 때문입니다. 결국 시스템에 손상을 입히게 됩니다. 여러분이 무정전 전원 장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사람이 없을 경우에 무정전 전원 장치로부터 신호를 받아 안전하게 종료시켜줍니다. 현재 대부분의 무정전 전원 장치가 이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프로그램만 구입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특히 중요한 기기의 경우는 반드시 사용하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의 프로그램은 다른회사의 제품에도 적용 가능한가 ?
    대부분의 무정전 전원 장치 업체들이 프로토콜과 핀 배열을 달리하고 있어서 호환성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일부 제품들은 동일한 회사에서 생산되어 브랜드나 외양만 달리하여 판매되기도 하므로 그런 경우는 사용이 가능합니다. 보다 정확한 내용은 판매처의 기술자에게 문의하여 확인하여야 합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의 백업 시간이 궁금하다 ?
    무정전 전원 장치에 있어서 백업 시간은 매우 중요하고 가격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백업 시간이란 정전이나 전원 장애로 인하여 한전의 유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무정전 전원 장치 내의 배터리를 통하여 출력 전원을 유지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그러나 이 백업 시간은 여러 가지 환경에 의하여 동일한 제품이라도 다를 수가 있습니다. 특히 동일 용량의 제품과 동일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더라도 제조회사의 기술력이나 품질에 따라 백업 시간은 상당한 차이가 납니다. 좋은 회사의 우수한 제품을 사는 것이 더 긴 백업 시간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컴퓨터의 경우 전원 장치에 200W나 300W로 표기되어 있는데 실질적으로 컴퓨터에서 소모하는 전력은 100W에서 150W가 대부분입니다. 즉, 최대 허용 전력의 절반 정도가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론적인 내용을 참조하여 계산하지 마시고 보다 정확한 백업 시간 산정을 하기 위하여서는 공급 업체의 기술진과 협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에 연결하지 말아야 할 장비는 ?
    엄청난 전력을 소모하는 레이져 프린터는 가급적이면 연결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레이져 프린터를 연결하면 과부하가 걸려 무정전 전원 장치가 다운되어 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레이져 프린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컴퓨터 관련 기기는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없이 잘 동작합니다. 간혹 대형 모니터가 전력을 많이 소모하여 백업 시간이 짧아지지만 용량을 초과하지만 않는다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데 주의하여할 사항은 백업 전원 공급 중에 새로운 장비를 연결하여 전원을 켜지 말라는 것입니다. 특히 모니터를 연결하여 켜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렇게 하면 바로 무정전 전원 장치가 꺼져 버립니다. 그 이유는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걸리기 때문입니다.

    절체 시간이란 무엇인가 ?
    오프라인이나 라인 인터랙티브 방식의 무정전 전원 장치는 한전이 정상적으로 유입되면 일정한 전원 조정을 거쳐 바로 출력을 내보내나 정전이나 전원 장애가 발생하여 한전을 출력할 수 없을 경우 내부 배터리에 의한 인버터 전원을 출력합니다. 이때 한전 전원에서 인버터 전원으로의 전환이 필요한데 이 때 소요되는 시간을 바로 절체 시간이라고 합니다. 절체 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면 스위칭 파워에 손상을 입히므로 절체 시간이나 안정성이 우수한 제품을 구입하여야만 손해를 입지 않습니다.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절체 시간은 2ms에서 10ms 정도입니다. 값이 너무 싼 초저가형 제품은 이 부분을 의심하여 보아야 하며 절체와 관련한 부품들이 국제 규격의 품질 인증을 획득하였는지도 확인하여야 합니다.

    Buck와 Boost란 무엇인가 ?
    Buck와 Boost는 자동 전압 조정 기능이 가미된 무정전 전원 장치에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Buck는 높은 전압을 낮춰 주는 기능을 말하며 Boost는 낮은 전압을 높여 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 도입 요령


 

1. 백업 시간 산정의 비밀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속고 사는 것이 바로 무정전 전원 장치 용량하고 백업 시간일 것이다.이 두 가지는 제품 가격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입니다. 그러면 먼저 왜 사용자들이 백업 시간에 속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이건 아마 컴퓨터를 사면서 486컴퓨터에 윈도우 95가 설치되어 있으면 펜티엄 컴퓨터라고 알고 사는 사용자들과 비슷한 경우라고 보면 됩니다. 사는 사람이 무턱대고 가격만 싼 걸 찾을 경우에 대부분 발생하는 문제라는 것을 여러분도 잘 아실 것입니다. 파는 사람도 팔기는 팔아야겠는데 사는 사람이 너무 값을 깍으려 들면 어쩔 수 없이 편법적으로 팔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아마 사려는 사람이 조금만 더 구입 전에 제품에 대한 공부를 하였더라면 오히려 속지도 않고 좋은 제품을 싸게 구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페어스톤의 제품을 사실 때에 그런 고민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저희는 정말로 좋은 제품을 가능만 하다면 최대한 싸게 공급하는 업체니까요. 여러분은 아래의 내용을 잘 읽어 보시고 제품의 백업 시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적으로 배터리가 많이 들어간 제품이 백업 시간이 길다는 점 잊지 마십시요. 제품 구입할 때 오히려 백업 시간이 몇 분이냐고 묻지 마시고 몇 암페어짜리 배터리가 몇 개나 들어 있는지 물어 보시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


백업 시간

정전이 발생하면 UPS 에서 전기를 공급하는데 이 시간을 백업 시간이라고 한다. 백업 시간은 동일 제품 이라도 연결된 컴퓨터 수나 사용 정도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인다.

 

1. 먼저 다음의 세 가지 값을 결정하십시요.

 

a. 부하의 전체 VA 값 산출 ( UPS의 VA가 아니라 여러분의 컴퓨터의 부하)

b. UPS 내장 배터리의 DC 전압 ( 해당 제품 사양서 참조 )

c. UPS의 AH 값 산출 ( 해당 제품 사양서 참조 )

 

2.『 VA ÷DC ÷ AH = “ C ” 』를 계산하십시요.

 

그래프에서 개략적인 C값에 해당하는 위치를 찾고 그 지점의 X-축값 (분/시간)을 찾으십시오. 그리고 이 시간에 2를 곱한 값이 최소 백업 시간이 되고 3을 곱한 값이 최대 백업 시간이 됩니다.

 

 

3. 예제) P1000에서 800VA의 부하를 걸었을 경우 ?

 

=> 800 ÷ 48 ÷ 7 = 2.38

 

그래프에서 2.38C에 해당하는 지점의 X축 값을 읽으면 대략 10분이 나옵니다.이 값에 2를 곱하고, 3을 곱한 값 사이가 실질적인 백업 시간이 됩니다.그러므로 이 경우의 백업 시간은 20 ~ 30 분이 되는 것입니다.

 

 

2. 관리 프로그램의 도입

    무정전 전원 장치의 한계성
    무정전 전원 장치는 전원 장애나 정전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단순히 전기 단절로 인한 상황을 일정 시간 연장시켜 주는 기능밖에 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백업 시간 이상으로 정전이 지속되면 그냥 꺼져 버립니다. 바로 이순간 관리자가 어떤 대처를 하지 않았다면 정전이나 전원 장애가 발생하는 순간의 피해와 동일한 손상을 입게 됩니다. 이러한 무정전 전원 장치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두된 것이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보드의 개발이었습니다. 이것이 무정전 전원 장치의 상태를 컴퓨터에 실시간으로 알려 위기 상황이 발생하면 컴퓨터를 안전하게 자동 종료시킬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가 가진 최대 백업 시간 이상으로 정전이나 전원 장애가 길어지더라도 사용자는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성능이 개선되어 대부분은 소프트웨어적으로 해결하고 직렬 포트를 사용하는 아주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
    일부 공급업체에서는 단순히 윈도우95에서 무정전 전원 장치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관리 프로그램이라고 하여 판매하고 있으나 그것은 진정 우리가 사용하여야 할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의 상태는 디스플레이나 경고음을 통하여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상태 관리 프로그램은 아무런 쓸모가 없는 것입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 관리 프로그램의 근본적인 사용 목적은 무정전 전원 장치의 상태를 보는 것이 아니라 무정전 전원 장치를 통하여 전원 공급을 받는 시스템이나 데이터를 보호하는데 있습니다. 그러므로 단순 상태 모니터링만 가능한 프로그램을 구입하고서는 만반의 준비를 한 것으로 착각하지 말기 바랍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입하기 위한 준비를 할 때 자신이 사용하는 운영 체제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몇 대나 되며 어떻게 관리를 할 것인지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하여야 합니다.

     


UPS 프로그램

컴퓨터 사용자가 부재 중인 경우에 백업 시간보다 정전이 길어질 경우 UPS는 아무런 조치없이 컴퓨터 전원 공급을 중단 하고 꺼져 버린다. 이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UPS와 통신 가능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UPS에 문제 발생시에 데이터 보호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바로 이런 프로 그램을 UPS 프로그램 이라고 한다.

    송수신 방식과 접점 방식의 인터페이스 비교
    인터페이스는 무정전 전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것으로서 둘 다 보호 기능은 동일하게 구현되나 송수신 방식이 접점 방식에 비하여 보다 많은 상태를 볼 수 있다. 그러나 품질이 낮거나 신뢰성이 떨어지는 저가형에 송수신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도입하여 사용하면 나중에 인터페이스 라인에 유입되는 간섭 현상으로 인하여 오동작의 소지가 상당히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상황인데도 잘못된 신호가 유입되면 정전으로 인식하여 시스템을 종료시켜 버리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관리 프로그램의 목적이 최악의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만든 것인데 오히려 더 많은 최악의 상황을 만들어 피해를 가져옵니다. 가능하면 접점 방식의 인터페이스와 프로그램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오프라인이나 라인 인터랙티브 방식에서는 무정전 전원 장치의 본연의 목적이 아닌 부분에서 상당한 원가 상승을 가져 오는 송수신 방식보다는 무정전 전원 장치의 가격도 싸고 오동작이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제로에 가까운 접점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채택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만약 온라인 방식의 대용량이라면 송수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이 경우는 충분한 안정성 검증을 거쳐야 할 것입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 프로그램


 

1. 기본 개념
 

당사에서 개발한 무정전 전원 장치 프로그램은 단순히 무정전 전원 장치의 상태를 원격에서 감시하거나 문제 발생시에 관리자 삐삐를 호출하여 주는 단순 기능 구현이 아니라 최근 네트워크 개념과 동향을 충실히 따른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프로그램으로서 시스템 데이터 및 관리 그리고 무정전 전원 장치 상태 감시를 수행합니다. 서버에 설치된 무정전 전원 장치 관리자 프로그램은 무정전 전원 장치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내오는 각종 전원 정보를 분석하여 무정전 전원 장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및 SNMP 스테이션에 보내 일련의 보호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원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TCP/IP, IPX, Named Pipes 또는 SNMP입니다.  

 

예를 들어 서버 프로그램에서 전압 변동이나 정전 또는 배터리 저전압을 감지하였다면 즉시 무정전 전원 장치에 연결된 모든 시스템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경고 메시지를 보내 사용자가 보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합니다. 만약 사용자가 부재 중일 때에도 자동으로 프로그램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는 보다 정확한 무정전 전원 장치의 상태 파악을 위하여 각종 점검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예비 점검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약해지는 부분을 발견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므로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원격 콘솔 명령 ("RCCMD")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종 명령어를 전송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으로 한 대의 중대형 무정전 전원 장치에는 수십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고 타사의 프로그램은 모든 컴퓨터에 자동 종료 및 보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모든 컴퓨터를 시리얼 포트를 사용하여 무정전 전원 장치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며 비용 증감도 엄청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당사의 프로그램은 원격 콘솔 명령을 사용합니다.

 

 

2. SNMP 장비를 통한 관리 

기존의 전화 라인이나 직렬 포트를 통한 관리는 네트워크화되고 있는 현재의 컴퓨팅 구조에는 여러 가지 제약이 많아 효율적이지 못하여 현장에서 그렇게 유용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SNMP를 통한 네트워크 관리는 기설치된 네트워크 라인을 활용하고 다른 모든 네트워크 장비와 통합하여 관리되므로서 비용적인 면에서도 상당한 절감 효과를 가져옵니다. 전원 장애나 정전으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관리자는 무정전 전원 장치로 인하여 영향을 받을 연관 장비들을 원격에서 통제 및 관리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관리 방식은 단순히 무정전 전원 장치와 이에 연결된 서버만을 보호하거나 단순 상태 보고만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SNMP 관리 방식은 모든 부분에 걸쳐서 발생할 소지가 있는 문제를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SNMP를 통한 관리가 이뤄지면 관리자는 수십대에서 수백수천대에 이르는 무정전 전원 장치들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만약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곳이라면 SNMP 기능을 기존 장착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3. 지원하는 운영 체제

    MS Windows 계열
    WINDOWS 16&32비트 클라이언트 ( INTEL, ALPHA, MIPS )
    WINDOWS 3.1x INTEL, ( peer-to-peer 네트워크 기능 포함 )
    WINDOWS 95 INTEL, ( peer-to-peer 네트워크 기능 포함 )
    WINDOWS NT 3.51 32-비트 ( INTEL )
    WINDOWS NT 4.00 32-비트 ( INTEL )
    WINDOWS NT 3.51 32-비트 ( ALPHA )
    WINDOWS NT 4.00 32-비트 ( ALPHA )
    WINDOWS NT 3.51 32-비트 ( MIPS )
    WINDOWS NT RCCMD 멀티 셧다운 및 네트워킹 ( NT INTEL, ALPHA, MIPS )
    WINDOWS NT SNMP 기능의 UPS MIB ( NT INTEL, ALPHA, MIPS )

    NOVELL NetWare 계열 
    NOVELL NetWare 3.11 & 3.12 INTEL
    NOVELL NetWare 4.0, 4.01, 4.02, 4.1, 4.11 INTEL
    NOVELL IntraNetWare 4.11 INTEL
    NOVELL NetWare RCCMD 멀티 셧다운 및 네트워킹
    NOVELL SNMP 기능의 UPS MIB

    IBM OS/2 
    WIN/OS2 16비트 클라이언트 ( INTEL )
    IBM OS/2 버젼 WARP 3.0, 4.0 & WARP Connnect INTEL
    IBM OS/2 버전 LAN SERVER 3.0 INTEL
    IBM OS/2 버젼 LAN SERVER 4.0 INTEL
    IBM OS/2 RCCMD 멀티 셧다운 및 네트워킹
    IBM OS/2 SNMP 기능의 UPS MIB
     

    Unix 계열 
    SUN SOLARIS INTEL
    SUN SOLARIS SPARC
    SCO UNIXWARE
    NOVELL UNIXWARE, OLIVETTI UNIX 그리고 INTEL호환의 SVR 4
    SCO UNIX SVR 3 오픈 서버 5 INTEL
    SIEMENS SINIX 5.42 & 5.43 RM RISC MIPS
    SIEMENS SINIX 5.41 MX 300 INTEL
    SILICON GRAPHICS IRIX MIPS
    IBM AIX V 3 & 4 RS 6000
    IBM AIX V 3 & 4 PowerPC
    DEC UNIX (formerly OSF/1) ALPHA
    HP UNIX V 9 HP PA-RISC
    HP UNIX V 10 HP PA-RISC
    LINUX 2.x INTEL
    DATA GENERAL UNIX AVIION INTEL/PENTIUM
    DATA GENERAL UNIX AVIION MOTOROLA
    UNIX RCCMD 멀티 셧다운 및 네트워킹

 

::::::: H-시리즈의 주요특징 :::::::


 

 

 


             H-시리즈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모든 동작이 프로그램적인 제어와 하드웨어적인  제어에 의하여 그 설정치나 제한값을 변경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데 있을 것입니다. 그 중에서 일정 용량 이하로 부하량이 떨어질 경우 무부하로 판단하여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하여 전기를 절약하고 부하가 일정 용량 이상으로 증가하면 다시 인버터 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매우 지능적인 에너지 절약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미 10년 이상 현장에서 적용하고 개선되어 매우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 설정하고자 하는 무부하로 판단할 기준이 되는 부하량도 프로그램에 의하여 매우 간단하게 제어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UPS에는 언제든지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며 이 과부하로 인하여  UPS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못하고 고장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일부제품은 과부하를 인지한 후 바이패스로 넘기는 과정에서 고장이 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H-시리즈는 과부하 상황이 발생할 경우 과부하에 의하여 출력 용량의 상승이 이뤄지지 않고 매우 안정적인 상태에서 대처하도록 전류 제한을 하여 UPS의 고장이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바이패스 또는 차단이 이뤄지도록 합니다. H-시리즈가 고급 UPS로서의 그 이름값을 하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이며 다른 일반적인 UPS와의 차별화되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완벽한 정현파 출력 전압 및 LED 및 경고음에 의한 알림 기능
한전에서 공급되는 전기의 파형보다 더 깨끗한 정현파를 출력하며 이는 일반 저가의 UPS의 출력파형과도 그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모든 알람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그 이상 부위를 알고 조치를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시스템 제어

마이컴에 의하여 UPS 내부의 부분이 지능적으로 완벽하게 제어되는 시스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각종 설정값을 소프트웨어 또는 제어키에 의하여 완벽하게 제어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UPS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UPS에 사용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 UPS라고도 하는데 속지 마시기 바랍니다.
 


입력과 출력의 완벽한 절연
일반적인 온라인 방식의 UPS는 커먼 모드 노이즈를 필터링하지 못하므로 뉴트럴 라인을 통하여 전송되어 부하에 악영향을 주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온라인 방식의 UPS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추가적으로 절연 트랜스포머을 사용하여 절연시켜 줍니다.


3:1 이상의 파고율(Crest Factor)

비선형 부하같은 파고율이 높은 부하 상황에서도 매우 안정적으로 동작하여 깨끗한 파형과 높은 효율을 유지합니다.
 


바이패스 및 인버터 모드에서의 단락 보호
인버터 및 바이패스 모드에서도 단락 보호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누전 차단기가 동작하여 차단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가지의 통신 프로토콜, 2개 방식의 RS232 통신 포트
H-시리즈는 세 가지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한 두 개의 통신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SNMP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송수신 방식의 통신 포트 부분에 SNMP 카드를 장착하여 네트워크 UPS가 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32 문자 LCD 디스플레이
40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서 있상태에서 보기 편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모든 제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설계한 휴먼 인터페이스 구조입니다. 
 


고급 실리콘 터치 스위치
고급 실리콘 버튼을 사용하여 제품의 고급화와 터치감을 극대화하였습니다.
 


고성능 IGBT에 의한 설계

저가의 UPS의 고장이 잦은 부분이 바로 IGBT의 파손이며 이는 설계 및 생산 기술력에 의하여 많이 좌우되는 부분입니다. IGBT 균형을 맞추어 동작하도록 최적 설계되어 매우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
 


90% 이상의 고효율
매우 높은 실질적인 효율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열역학적인 설계 구조 및 고효율 내부 부품의 사용 그리고 설계 기술에 의하여 완성되었습니다. 장시간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있는 제품은 많지 않습니다.



과부하 방지를 위한 전류 제한
다른 UPS 업체에서도 벤치마킹하려 하는 H-시리즈의 최절정 기술력이 돋보이는 부분이 바로 과부하 방지를 위한 전류 제한 기능입니다. 매 사이클 단위의 과부하 감지와 이에 따른 전류 제한으로 과부하를 매우 지능적으로 통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과부하 보호 기능과는 그 차원이 다릅니다. 이 기능으로 인하여 고장 발생률이나 과부하로 인한 피해가 상당히 감소하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스태틱 스위치 자동 전환

매우 안정적인 스태틱 스위치의 자동 전환으로 각종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


배터리 저전압 차단 기능
안정적인 배터리 관리와 과방전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가 일정 전압 이하로 차단될 경우 이를 중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연동할 경우 보다 더 안정적인 배터리 관리가 될 수 있습니다.

 

::::::: H-시리즈의 구조분석 :::::::


 

 

32문자 LCD 디스플레이 :::::::
40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서 있
상태에서 모든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설계한 유먼 인터페이스 구조입니다. 또한 고장 진단에 필요한 모든 자료가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신속 정확한 수리가 가능합니다. 10년이 넘게 개선되어 온 제어 기술은 실용적 이며 모든 동작을 완벽하게 감시 및 보호합니다.그리고 본체에서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액정 화면을 통하여 현재 동작중인 UPS의 상태를 상세하게 볼 수 있으며 밑부분의 제어키를 통하여 각종 통제 및 고장 진단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종 로그 파일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전원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급 실리콘 버튼 제어키 :::::::

디스플레이, 제어 ,설정 그리고 초기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임의의 조작을 막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부분의 키 누름은 두 개의 키를 눌러야 동작하도록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다른 UPS의 경우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단순히 끄고 켜는 방식이라 누군가 스위치를 누르면 UPS가 꺼지거나 켜지게 됩니다. 그러나 H-시리즈는 LCD 창에 나타난 해당 명령 문자에 위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눌러야만 끄거나 켤 수 있으므로 오동작이나 임의의 조작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급 실리콘 버튼을 사용하여 제품의 고급화와 터치감을 극대화하였습니다.

 

 동작 모니터링 LED :::::::
과부하,고장, 동기화, CPU, 통신과 같은 매우 중요한 요소에 대한 LED 디스플레이 표기에 의하여 즉각적인 상황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단의 도식화된 LED는 UPS 내부의 특정 부위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도록 하였습니다.
 

 


 

 이상적인 열 배출 :::::::
강력한 고품질의 쿨링팬을 사용하고 있으며 UPS 옆면 하단 부위에 시원한 공기가 흡입되어 내부의 열 발원 부위를 거쳐 상단의 쿨링 팬을 통하여 내부의 더운 열기가 방출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제품 옆면과 앞면의 통풍구에 손을 가까이 대 보면 시원할 정도로 내부 열 배출 시스템이 열역학적으로 설계되어 있어 많은 팬을 사용하지 않고도 열 배출 능력이 뛰어 납니다. 여러 개의 팬을 사용한 제품보다 소음과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통신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H-시리즈는 UPS에서 가능한 두 가지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한 두 개의 통신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확장적인 모든 소프트웨어 구성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는 기본적인 틀을 갖추고 있습니다.

 UPS 온/오프 및 배터리 스위치 :::::::
제품 후면에 위치한 스위치는 처음 UPS를 설치하고 켜면 UPS 내부 수리나 배터리 교체를 위한 작업 이외에는 손댈 필요가 없습니다. 이중적인 스위치동작으로 이뤄지므로 전면에 제어 버튼을 통하여 실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품의 신뢰성을 위한 충분한 용량의 유럽 인증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입출력 및 배터리 단자대 :::::::
안전한 연결 및 보호를 위하여 커버로 덮혀 있어 처음 연결 후 닫혀지므로 비전문가의 임의적인 조작이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깔끔한 제품 외관을 유지하도록 배치하였습니다. 입력과 출력 그리고 외부 배터리 연결 단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진 및 진동 방지 개스터 :::::::
360도 회전이 가능한 이동과 고정이 편리한 스토퍼가 달린 고급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어 지진이나 진동이 발생할 경우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습니다
 .


 

 릴레이 부 :::::::
릴레이는 각종 제어 신호를 받아 이에 따른 제어 동작 실행을 하며 처음 UPS가 켜질 때 UPS 내부 각 부분의 각종 점검을 위한 릴레이가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동작음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면의 제어 버튼에 의한 명령으로 릴레이가 동작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어 지진이나 진동이 발생할 경우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습니다.

 IGBT부 :::::::
UPS에서 전력 변환을 하는 매우 고가의 중요 부품 소자이며 숙련된 전문 기술자에 의해 특별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매우 안정적이고 조화로운 동작을 수행합니다. 이 부분의 설계 기술 능력이 부족한 UPS의 경우 IGBT가 자주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H-시리즈는 이 부분에 대한 특별한 구성으로 다른 UPS 업체로부터도 벤치마킹 의뢰가 자주 들어 옵니다.

 배터리 또는 충전기부 ::ㅈ:::::
통상 배터리가 위치하는 부분이며 배터리의 확인 및 설치가 용이한 구조이며 배터리를 내부에 장착하지 않는 외장형 시스템으로 구성할 경우 이 부분에 외장 배터리의 충전기를 위치시킵니다.  
 

 트랜스포머부 :::::::
열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매우 고급 소재의 코일과 코어를 사용하며 구조적인 안정성과 뛰어난 효율을 자랑합니다. 각종 단자 처리가 일반 UPS와는 달리 깔끔하고 완벽하게 처리하여 고객이 한 눈에 보더라도 고급 마감 처리와 얼마나 잘 만들려고 하였는지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IGBT 구동 드라이브 :::::::
오랜 기간 동안 개선하고 발전시켜 지금은 거의 고장없이 IGBT를 완벽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설계는 완성도가 높아야 하며 IGBT의 특성을 잘 알아야 잘 만들 수 있는 부분입니다. 다른 제품들과 비교하면 그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직렬 RS232 통신 :::::::
H-시리즈에는 다른 제품들과 달리 UPS에서 사용하는 두가지의 직렬 통신을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및 통신 소프트웨어와의 완벽한 동작을 합니다. 특히 UPS 엔지니어를 위한 LUPS라는 전용 모니터링 및 제어 소프트웨어가 있어 보다 편리하게 UPS의 각종 설정 및 성능 테스트를 현장에서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스태틱 보드 :::::::
각종 스태틱 제어를 위한 부분으로서 다른 UPS와 달리 별도의 보드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손쉽게 테스트하고 성능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인버터 보드 :::::::
아마 UPS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거의 모든 출력 설정 및 각종 편차를 정밀하게 조정하는 합니다. 이 부분도 오랜 시간 동안 많은 개선과 성능 향상을 거쳐 지금은 매우 안정적이고 신뢰성있게 동작합니다. 다른 UPS와 비교해 보시면 그 차이를 여기서도 확실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충전기 보드 :::::::
배터리는 UPS의 비상 동작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며 완벽하게 충전을 제어하여 주어야 배터리가 불량없이 항상 대기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충전 부분이 잘못되면 배터리가 충전되지 못하여 정전을 비롯한 전원 장애로 인하여 배터리에 의한 전기 발생을 하여야 하는 시점에서 심각한 문제에 처하게 됩니다. 간혹 충전기의 용량 이상의 배터리를 임의적으로 확장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고장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최근 보다 진보한 고주파 방식의 충전 기술을 적용하여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보다 편리하게 충전 용량을 확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H-시리즈 제품사양 :::::::

모델명

H3000K

H5500K

H6000K

H8000K

H010K

모드

마이크로 프로세서 20KHz 온라인 IGBT 방식

출력

(인버터 출력 모드에서)

용량 (VA)

3000

5500

6000

8000

10000

용량 (W)

2400

4400

4800

6400

8000

전압

220 V

전압 조정

 부하 변동이나 라인 전환 시에도 +/-2% 이내에서 안정화

조정

입력 전압의 +/-10%

주파수

50/60 Hz +/-0.5% (자동 감지)

출력 파형

PWM 완전 사인파

THD

<3% (선형 부하); <5% (0.7 비선형 부하)

과도응답

전 부하에서 +/-4% 정도의 변동 시 100mS 이내에 안정화

C.F

3 : 1 이상

입력

전압

220V
+15 / -20%

220V
+15 / -20%

단상
  220V +15/-20%
삼상
  380/220V +15/-20%

단상/H-N-G/H-N-H-G

주파수

60 Hz +/-5%

백업 시간

전 부하 (분)

주문 사양

주문 사양

주문 사양

주문 사양

반 부하 (분)

주문 사양

주문 사양

주문 사양

주문 사양

배터리

전압

192VDC

수량

12V/7~24AH 16개 : 고객의 주문 시간에 따라 용량 조정

유형

무보수 밀폐형 연축 전지 / 니켈 카드늄 전지

충전

8시간에서 10시간 (90%)

절체 스위치

자동 모드

인버터 고/저 전압, 과부하, 과열 시 상태 초기화 후 자동 전환

절체 시간

최대 4mS.

수동 모드

전면부의 컨트롤 버튼을 눌러 인버터 모드에서 바이 패스 모드로 전환

제어 및 지시

일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회로 감시 및 제어 그리고 로그 파일 기록

컨트롤 버튼

8개의 버튼에 의한
1. 동작 상태 및 전원 데이터 디스플레이
2. 상전, 인버터, 바이패스 시스템 온/오프 제어
3. 시스템 변수 설정
4. 경고 초기화

LCD

32 문자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한
1. 시스템 운영 상태 표시
2. 각종 설정 값 표시
3. LCD 디스플레이 보호 기능

LED

1. 과부하 / 고장/ 동기화
2. 통신 신호 -- Run / Rx / Tx
3. 세부 동작 상황 디스플레이

경고음

정전 / 배터리 저전압/ 고장 / 바이패스 / 과부하

절전 모드

인버터 동작 시 부하가 없으면 바이패스 모드로 자동 전환

통신 포트

송수신 방식

패킷 송수신 방식의 DB9 포트

접점/AS400

접점 신호 방식의 DB9 포트
UPS 켜짐/바이패스/정전/배터리 저전압/종료

절연

입출력 절연

Hot/ Neutral 라인에서 100 Mega Ohm/500Vdc 이상

보호

과부하

인버터 110% : 10초, 바이패스 120% : 30분, 150% : 25초

회로 단락

인버터 및 바이 패스 출력 차단

온도

내부 온도 센서에 의한 과열 현상 보호(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

브래커

입력과 배터리 루프 보호

EMI 필터

10-100Khz ( 50 dB에서) ; 100Khz-100Mhz ( 70dB에서)

규격

크기(mm)

260x600x700

390x680x700

390x790x850

무게(kg)

95

110

185

220

280

일반

효율

인버터 - 90% 이상, 시스템 - 84% 이상

잡음

50dB 이하

55dB 이하

60dB 이하

동작 환경

0-40 도, 습도 0-90%

옵션

1. 프로그램 패키지

2. 확장 배터리 뱅크 - B1607, B3207 B4817

3. 입출력 라인 패널

모델명

H015K

H020K

모드

마이크로 프로세서 20KHz 온라인 IGBT 방식

출력
(인버터 모드)

용량(VA/W)

15KVA/12KW

20KVA/16KW

입력

전압

3상 R-S-T-N 380/220V +/-20%

동기

60 HZ +/- 3HZ

역률

0.8

제품 설명

기술

기술적인 내용은 윗 부분 설명과 동일

배터리

별도의 배터리 뱅크 사용

규격

크기(mm)

520 x 680 x 970

520 x 680 x 970

무게(kg)

280

360

 

::::::: H-시리즈 네트워킹 :::::::


 

 

 UPS 관리 소프트웨어 - UPSMAN :::::::

img1.gif

UPS에 연결된 컴퓨터는 UPS 관리 프로그램에서 서버 프로그램 부분인 UPSMAN이 설치되어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 동작합니다. UPS와 관련한 설정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여기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필요로 하는 모니터링 관련 프로그램이나 기기에 전송하고 필요한 명령을 받아 UPS를 제어하도록 하기도 합니다.

 


 

 

 

 UPS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 UPSMON :::::::

모니터링 프로그램인 UPSMON은 반드시 UPS에 연결된 컴퓨터에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UPSMAN에서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고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필요로 하는 컴퓨터에 설치하면 됩니다. 이렇게 모니터링을 어느 컴퓨터에서나 가능하도록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UPS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UPS 원격 종료 프로그램 -RCCMD :::::::

대용량의 UPS 1대에는 적게는 몇대의 컴퓨터에서 수백대의 컴퓨터가 연결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컴퓨터에 UPS에서 각각 직렬 케이블로 연결하면 엄청난 작업이 필요하고 매우 복잡한 연결이 되고 그 결과 또한 신뢰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전기를 공급하는 UPS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정전 상황에 따른 자동 컴퓨터 종료나 데이터베이스 저장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 모든 필요 사항을 네트워크 기반으로 동작하는 원격 종료 명령 프로그램인 RCCMD가 해결하여 줄 것입니다. 단지 이 프로그램을 각각의 컴퓨터에 설치하고 설정하면 UPSMAN에서 정보를 받아 이에 따른 명령을 수행합니다. 더 이상 복잡한 케이블 연결이 필요하지 않게 됩니다.


 

 

 

 통합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 - UNMS :::::::

회사가 큰 경우 전국 각지에 설치된 UPS가 수십대에서 수천대에 이를 수 있으며 UPS 관리자에 의한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입니다.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관리 방법의 복잡성과 난해함으로 인하여 실무에서 그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업체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UNMS는 단지 지도를 기반으로 단지 해당 아이콘을 클릭만 하면 해당하는 UPS의 상황을 UPSMON으로 연계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단하게 전체 UPS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UPS 네트워크 아답터 - CS121 :::::::


UPS에 네트워크 아답터를 연결하면 직렬 연결할 컴퓨터가 없어도 되며 이 아답터가 앞에서 언급된 UPSMAN이 설치된 컴퓨터와 동일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아답터는 UPS에 연결할 컴퓨터가 여의치 않을 경우 사용하여 UPS를 바로 네트워크 허브에 연결하여 네트워크 상의 어느 컴퓨터에서나 모니터링 하도록 합니다. 즉, UPS 자체가 네트워크 주소(IP)를 가지고 있으므로 컴퓨터에 의존적이지 않고 독립적인 네트워크 기기로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UPS 온도 습도 관리자 - SENSOR MANAGER :::::

UPS가 설치된 곳의 내부 온도 및 습도는 UPS 동작이나 배터리의 동작에 영향을 많이 주게 됩니다. 그래서 UPS와 배터리의 최적 환경을 구성하기 위하여 온도와 습도를 관리할 필요가 있는데 온도 습도 관리자인 SENSOR MANAGER에서 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정밀한 디지털 제어가 가능하며 네트워크 및 웹 브라우저를 통한 관리도 가능하며 이 기록을 바탕으로 온도 습도 관련 기기의 제어와 연계할 수 있습니다.


 

 

 UPS 출력 관리 기기 - SITE SWITCH 4 :::::::

서버 컴퓨터를 비롯한 중요 기기는 그 설치 특성 상 또는 여러 이유로 인하여 필요에 따라 그 기기를 상황에 따라 원격에서 온/오프하여 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SITE SWITCH가 그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합니다. 이 기기 역시 네트워크 관리 아답터를 내장하여 동작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네트워크 LED 전광판 :::::::

UPS가 설치된 곳이 접근이 용이하지 않고 역시 컴퓨터를 통한 관리가 어려울 경우 LED 전광판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네트워크를 통한 모니터링이므로 물리적 환경 제약을 받지 않고 구성이 쉬우며 필요시 설치 위치의 이동도 용이합니다. 컴퓨터 화면이나 다른 어떠한 모니터링보다 직관적이고 조치가 빨리 이뤄질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H-시리즈 신기술 배터리 관리 시스템 :::::::


 

UPS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전이 되었을 경우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여 주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이 전기를 공급하는 원천은 바로 배터리입니다. 배터리는 평상시에 충전기에 의하여 충전이 되고 정전이나 비상 시에 배터리에서 방전을 통하여 전기를 발생 공급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UPS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부분이 배터리입니다. 한 대의 UPS에는 다수개의 배터리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보다 장시간 전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다수의 배터리 중에 하나만 문제가 있어도 전기를 공급하지 못하거나 매우 짧은 시간동안만 전기를 공급하고 꺼지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좋은 충전 기술을 통하여 충전을 하여 주면되지만 다수의 배터리는 각각이 가진 약간의 편차가 있고 이 편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벌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그 불량에 대한 판단은 매우 어렵습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배터리를 개별적인 관리를 통하여 모두 동일한 상태 즉, 최상의 충전과 방전이 되고 각 배터리간의 편차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고 유지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에측하지 못한 내부 배터리의 사전 관리 예방을 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사용 연한을 늘려주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보다 상세한 내용을 통하여 배터리 관리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출시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인 BACS에서는 통상 BMS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는 볼 수 없었던 균등 분배(Equalizing)라는 특허 신기술을 가지고 있다. 본 제품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본 글을 통하여 하고자 한다. 배터리의 치료적 개념을 도입하여 장시간 연속하여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예측할 수 없는 배터리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개별 배터리가 최적의 충전과 방전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 배터리가 최대의 충전 용량과 수명 연장 그리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한다.
 

 

 

::::::: BACS의 개략적인 구성 분석 :::::::


 

 

 

자가 조정 

UPS를 비롯한 기기들은 다수의 배터리를 직렬 또는 병렬 구성하여 하나의 배터리 집합체를 형성한다. 배터리의 관리는 충전과 방전을 통하여 이뤄지며 전체 배터리가 통상 하나의 배터리처럼 동작한다. 그러나 각각의 배터리들은 고유한 특성과 편차를 가지고 있으며 배터리가 일을 하도록 하는 부하가 걸리면 방전이 되고 부하가 제거되면 다시 충전을 하여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이 충전과 방전을 할 때 각각의 배터리들은 그 편차가 심화되고 나중에는 극복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자가 조정 기능은 부하, 충전, 방전 때에 배터리 상태 상호 간에 편차없이 최적화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배터리가 자동으로 최적 조정하여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지능적인 충전 분배

동일한 유형과 용량을 가지고 같은 회사에서 생산된 배터리들이라 하더라도 일단 충전이 시작되면 배터리 간의 편차가 서서히 발생하게 되고 충,방전이 반복될수록 그 차이는 늘어나게 된다. 결국 나중에는 특성이 좋지 못한 배터리로 인하여 전체적인 방전 용량이 줄어들게 되거나 동작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바로 지능적인 충전 분배 기능이다. 이것은 배터리 간의 지능적인 충전 상태 조정을 통하여 각각의 배터리들이 과다 충전이나 부족 충전이 되는 현상을 막고 모든 배터리가 거의 균등한 상태로 안전하게 충전되도록 한다. 충전 분배는 전체 시스템 동작 불능의 원인이 되는 약한 결합( Weak link in the chain) 현상을 막아주고 자가 조정 기능 그리고 안티 에이징 기능과 결합하여 UPS 제조업체에서 언급한 배터리 용량보다 20% 이상이 증가하는 결과를 가지게 된다.
 


측정과 분석

배터리의 상태가 좋은지 나쁜지는 배터리의 전류, 내부 저항, 충/방전에 따른 온도 그리고 충전 주기를 측정하면 알 수 있고 배터리 상태를 가장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 데이터를 통하여 각각의 배터리를 정밀 조정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불량 징후가 보이는 정상적이지 않는 배터리를 경고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주고 사전에 미리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측정과 분석을 통하여 불량 배터리로 인하여 실 부하가 걸릴 때 발생하는 전체 시스템 불능 상태를 거의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
 


온도 모니터링

충전이나 방전 동작 중에 배터리 온도가 높아지면 성능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터리의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온도가 오르면 전류를 감소시키거나 온도를 낮춰 줄 보조 도구를 연계하여 동작시킬 수도 있다. 수집 분석된 온도 데이터는 상위의 제어 기기와 연동되어 배터리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온도와 충전 전류가 조정되고 최적의 충전 과정이 유지되도록 한다.
 


정밀한 내부 저항 측정으로 배터리 부식 감소

배터리는 충,방전 횟수가 많아지고 사용 기간이 늘어날수록 전극판이 설페이션화되어 극판의 활물질이 부도체 물질인 백색 황산납으로 침전되고 극판을 부식시키는데 이 현상이 심해지면 충전을 하여도 더 이상 충전이 되지 않는 폐배터리가 된다. 통상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펄스 방식의 고가의 설페이션 제거 기기를 사용하거나 방전을 유도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는데 BACS는 배터리 내부 저항의 정밀 측정을 통한 제어 방법으로 부식 현상을 감소시킨다.
 

배터리 용량과 백업 시간의 정확한 분석

정확한 배터리 내부 저항 정보와 정밀한 부하 소비량을 측정하면 실질적인 시험 부하를 통한 확인을 하지 않고도 완벽하게 배터리의 백업 용량을 분석하여 계산해 낼 수 있다. 측정을 통한 분석은 실 부하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적의 조정을 위한 변수 프로파일

BACS는 배터리의 유형과 제조업체가 다른 상황에서도 최적의 조정과 제어가 가능한 유연한 시스템이다. 각각의 배터리들은 각자가 지닌 변수 프로파일과 퍼포먼스 타임 커브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입력, 디스플레이 그리고 관리

충전 전압, 내부 저항, 온도와 같은 각종 값들의 입력. 측정된 값들의 디스플레이, 최소, 최대값을 벗어난 경우의 경고. 상호 통신과 네트워크를 통한 관리를 할 수 있다.
  

 

 

 

::::::: BACS를 통산 배터리 관리의 장접 :::::::


 

높은 신뢰성

각각의 배터리가 관리되고 통제되지 않고 전체 배터리에 대한 충전, 방전만이 존재할 경우에는 배터리 불량이 발생한 이후에나 엔지니어의 유지 보수 점검을 통하여 문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런 경우는 이미 시스템 불능으로 인하여 상당히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한 후라고 볼 수 있다. BACS에 의한 관리가 이뤄지는 경우 문제 발생 전에 미리 불량 배터리의 징후에 대한 분석과 발생 전에 미리 교체하므로서 전체 시시템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 그림 1.  BACS C1 모듈이 12V 9Ah 배터리에 설치된 모습 ]

 

 

 


배터리 용량의 최대화

BACS는 각각의 배터리에 대한 자기 조정이 이뤄지는 독특한 구조이며 이로 인해 각각의 배터리들은 최대의 충전이 균등하게 이뤄지게 되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전통적인 충전 방식과 비교하면 최소 18.2% 이상의 배터리 용량 증가 효과를 볼 수 있다. UPS 제품 수명 또한 BACS를 사용하기 시작한지 며칠만 지나도 제조업체 사양 이상으로 늘어나게 된다.
 


배터리의 수명 연장

균등 분배와 안티 설페이션 기능 등을 통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최적화되고 내부 저항 정밀 측정에 따른 노후화 방지 기능으로 배터리의 수명이 30% 이상 늘어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BACS는 기존의 BMS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경제적이므로 수명 연장은 그 효과가 배가된다고 볼 수 있다.
 


제적 비용  절감

BACS는 모든 배터리가 불량이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하여 교체 시기가 되면 통보되도록 하므로 최대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전통적인 BMS의 경우 BACS와는 달리 치료적 개념의 기술이 없으므로 예고없이 갑작스런 배터리 노후화나 불량이 발생하여 교체하여야 할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고 전체적인 균등 분배 기능이 없으므로 각각의 배터리의 상태 변화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약하다. 그리고 수명 연장이나 배터리 용량의 극대화를 할 수도 없다. BMS조차 없는 일반 충전 방식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일반 충전 방식은 매 2~3년 주기로 배터리를 상태의 좋고 나쁘고 할 것없이 전체를 다 교체해 주어야 한다. 이런 비교를 하여 본다면 BACS를 도입한 경우 실질적인 경제적 비용 절감을 상당히 할 수 있게 된다.

 

 

[ 그림 2  32개의 BACS C1 모듈이 설치된 20 KVA UPS ]

 

 

 

::::::: 기존의 BMS 시스템과의 비교 :::::::


 

최소 크기의 데이터 모듈

배터리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표면 실장 기술을 통하여 크기를 최소화하였다. UPS의 배터리함이나 내부에 들어가더라도 문제가 없을 정도로 그 크기가 작아서 관리와 운영이 편리하다.

 

개별적 배터리 온도 측정

배터리의 온도는 배터리 성능의 매우 중요한 척도이다. 전통적인 BMS 시스템은 하나의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여 분석하는데 이는 다른 배터리에서 간혹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를 감지할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손실을 입게 된다.

 

간결한 시스템 구조

BACS는 기본적으로 각각의 배터리를 위한 데이터 모듈과 중앙 처리 모듈, 즉 두 개 부분만으로 구성되는 매우 간결한 시스템 구조이다. 비교가 되는 다른 BMS 시스템의 경우 추가적인 스트링 모듈이나 션트 저항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간단하고 빠른 설치

배터리에 모듈을 설치하고 각 모듈을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하면 완료 되므로 추가적으로 다양한 배선과 모듈을 부수적으로 장착 하여야 하는 BMS에 비하여 빠르고 간단하게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확실히 낮은 가격

확실히 낮은 가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가격은 그 효과에 비하여 상당히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었다. 물론 검증되지 않는, 그 성능이나 효과를 신뢰할 수 없는 저가의 BMS도 물론 있으나 배제하도록 하겠다. BACS는 모든 배터리마다 각각 한 개씩의 모듈(BACS C1, C2, C3 또는 C4)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확실히 낮은 가격으로 보다 더 고도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 그래프에 의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효과 분석 :::::::


 

 

BACS에 의하여 관리되는 DC 충전 그래프 분석

 

처음에는 각각의 배터리들이 서로 다른 레벨에서 시작하지만 충전이 시작된 후에 차이가 점점 줄어들다 8000초 지점에서 충전 전압이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각각의 배터리 상태를 파악하고 상호 간의 충전 레벨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전체적인 충전이 최대화가 되도록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제어되지 않은 배터리 팩의 그래프 분석

 

처음에는 각각의 배터리들이 같은 레벨에서 시작하지만 충전이 시작된 후에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 이유는 개별적인 배터리의 충전에 대한 고려 없이 전체 배터리의 충전만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몇몇의 배터리들은 충전이 넘치거나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전체적으로는 배터리 팩이 도달하고자 하는 전압에 이르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 배터리의 안전한 재충전을 위한 하한선인 붉은 라인을 한참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런 경우 배터리는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를 수 있다. 다시 재충전하는 과정에서도 역시 각각의 충전 간에 차이가 많이 난다. 전체적인 충전이 이뤄지고 개별적인 관리가 되고 있지 않아 방전 용량이 갈수록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한다.

 

 

 


제어되고 있는 배터리 팩의 그래프


충전 단계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충전 편차가 줄어들고 일정 시간이 흐른 지점에서 거의 균등한 충전 상태에 이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방전이 이뤄져도 배터리의 하한선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기준 라인 이상에서 된다. 방전이 이뤄지는 상황에서도 동일한 방전량을 유지하고 방전이 완료된 후 재충전이 될 경우도 일치된 상태에서 충전이 이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경우 배터리 간의 편차가 줄어들어 최대의 방전 용량과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