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품 판매중
밀폐형 전열관
가격 가격협의
모델명 밀폐형 전열관
제품분류 히터/전열기
업체명 (주)에너피아
전화번호 0504-0667-6480
등록일 13.09.05
상세설명

밀폐한 XL관내에서 전열선에 열을 가하면 열선주변으로 기포가 발생하면서 온수관의 상층부에 모이게 되며 이때 내부에는 압력이 발생하며 액체와 기체의 온도차가 10℃ 이상이 되면 핵비등 현상(Nucleate Boiling)이 이루어집니다.
결국 상온에서 방열관의 내부기압을 대기압보다 낮은 Negative Pressure(부기압)으로
유지함으로써 물의 비등온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그 결과 Nucleate Boiling 현상이 낮은 온도에서 발생되어 빠른 시간내에 바닥온도가 상승되고 잠열시간이 길어져 적은 에너지로도 큰 효율을 볼 수 있는“밀폐형 전열관 보일러”인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대표적인 제품은 압력밥솥입니다. 즉, 밀폐된 공간에서 열을 가하면 30℃이상 상승효과를 볼 수 있으며 열손실이 전혀없는 첨단방식의 에너지 고효율 온돌난방입니다.
또한 과다발생한 내부압력을 자체 흡수하는 시스템(발명특허)으로 내부 충진된 열매체와 탄소는 전자파를 완전 흡수하여 웰빙난방과 초절전 난방을 실현합니다.

Nucleate Boiling(핵비등) 현상 :
   뜨거운 난로위에 물을 부으면 둥그런 완전입체(구모양) 물방울이 또르르 굴러다니는 현상



? 열손실 제로 : 전기에너지가 열로 바뀌어 100% 이상 실질적인 난방에 이용됨.
? 축열기능 : 파이프에 충진된 액체와 미장층(콘크리트, 황토, 기타)의 축열작용으로 적은 에너지로 장시간 난방가능
? 낮은소비전력 : 통전율을 감안하여 평당 280W/H 전력소모로 유지비 최저
? 난방비 절약 : 동일면적 기름난방 대비 70%(핵비등효과)
? 공사비 절약 : 설비배관 불필요로 공사비와 기간을 단축

? 전자파 제로 : 당사만의 차폐시설로 전자파 제로를 실현, 인체에 무해하여 숙박, 요양시설에 적합
? 청정에너지 : 도체와 열매체를 2중 밀폐로 누수, 폭발의 위험이 없음(실용신안 제0442474호)
? 열선2중코팅 : 내열온도 300℃ 테프론과 내열온도 200℃ 실리콘으로 2중코팅
  (국내 절연조건 0.4mΩ 이상-자사검수조건 20mΩ 이상)
? 누수방지 : 작동시 파이프 내부의 팽창압력 흡수장치 개발로 액체가 새거나 엑셀이 터지지 않음

? 보일러실이 필요없어 공간활용이 유리함
? 제품 이상 발생시 바닥을 뜯어내지 않고, 점검구 박스만 열고 완벽한 A/S가 가능함
  (특허 제0805703호 보유, 미보유업체 불가)
?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
? 기존 난방배관에 전열선 삽입만으로 난방교체 가능

? Cold Lead 외부설치와 과압수용 시스템으로 고장이 없음
? 시공 후 시스템의 유동이 없어 반영구적임
? 간단한 구조로 A/S가 발생되어도 처리가 간단하며 파이프내에 축열 및 결빙을 방지하는 천연물질로 -20℃까지 동파되지
  않음

? 전통온돌난방 : 고유의 바닥온돌 난방이므로 원적외선 복사열과 음이온이 방출되고 훈기로 인해 실내공기가 쾌적하며
  따뜻한 한민족 전통 온돌난방
? 부분난방 및 전체 난방 : 5~6평 단위로 부분난방 및 중앙집중 통제가 원활함
? 웰빙난방 : 온수관에서 다량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어 건강에 유익함(원적외선 0.891, 음이온 142)

? 숙박업소, 교육시설, 휴양시설 등에 적용
? 병·의원 및 산후조리원, 교회, 성당 등 종교시설에 적용
? 음식점, 기숙사 등에 적용
? 축양시설, 비닐하우스, 수경재배시설, 버섯재배시설에 적용중
? 수영장, 산업시설에 적용중



구분 밀폐형 전열관 LPG보일러 도시가스보일러 유류보일러 전기보일러
유지비 26.8% 93% 80.3% 100% 40%
수명 반영구적 7~10년 7~10년 7~10년 7년
열효율 100% 78% 78% 85% 78%
안전성 양호 가스누출, 폭발위험 가스누출, 폭발위험 화재 -
소음/매연 없음 있음 있음 있음 없음
설치공간 보일러실 불필요 필요 필요 필요 필요
정비소요 없음 발생 발생 발생 발생
복사열 있음(온돌과 같은 공간난방) 있음 있음 있음 있음


모델종류 제품규격 정격전력 소비전력 난방면적(㎡) 평균 소비전력
DW-010 14m×15ø 20~40W/m
시공간격 :
20~25cm
560W/h 3.30 76wh/㎡
DW-015 21m×15ø 840W/h 4.95
DW-020 28m×15ø 1,120W/h 6.60
DW-025 35m×15ø 1,400W/h 8.25
DW-030 42m×15ø 1,680W/h 9.90
DW-040 56m×15ø 2,240W/h 13.20
DW-050 70m×15ø 2,800W/h 16.50

※ 제품규격(길이, 소비전력)은 주문제작 가능



구분 평당에너지 통전율 에너지가격(원) 평당 1일
에너지 비용
100평기준 한달
에너지비용
비율(%)
경유 0.086ℓ/h - 1650.5원/ℓ 1,419.4원 4,258,200원 679
도시가스 0.075㎡/h - 750원/㎡ 562.5원 1,687,500원 269
전기판넬 0.66kw/h 95% 74.7원/kwh 468.3원 1,404,900원 224
초절전온수관 0.56kw/h 50% 74.7원/kwh 209.1원 627,300원 100

1. 2011년 1월 에너지 단가기준. 1일 보일러 사용 10시간 기준. 건축법 제59조, 설비규칙 21조의 표준단열재 사용시.
  실내의 단열조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2. 전기요금은 기본료가 제외된 금액임.



단열재 시공

기포콘크리트 또는 스티로폼 위에 은박단열재 시공
와이어메쉬 시공

#8 또는 #10 일반용을 서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
점검구박스 설치

점검구 높이가 미장높이와 수평(180×180×40)
밀폐형 전열관 시공

점검구박스에서 출발하여 END CAP부분이 다시 돌아오게 시공
(간격 200~250mm)
온도센서 설치

습식용 온도센서를 발열부에 설치
점검구박스 보양

미장시 물기가 들어가지 않게 보양
온도조절기 설치

전원(220V)를 입출력 단자연결(15A)
발열테스트

전원공급 후 소비전력 및 발열량 체크
몰탈마감

마감재에 따라 30~40mm 미장
마감재

마감재 및 점검구박스 마감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