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품 판매중
MS
가격 가격협의
모델명 MS
제품분류 CAD/CAM
업체명 나이스솔루션뱅크(주)
전화번호 0504-0667-2007
등록일 13.08.21
상세설명
 
갈수록 짧아지는 납기와 개선된 품질, High Speed Machining(HSM)을 요구하는 현재, 앞선 회사들은 CAD/CAM 작업실과 현장의 Shop-Floor에서 동시에 고속가공으로 금형제품을 가공하고 있습니다.

machining STRATEGIST는 세계초일류 선진 제조기업의 고품질 단납기 실현을 위하여 개발된 인공지능형 CAM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램 구동시의 제반 소요 시간과 기계가공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존의 CAM 프로그램보다 최소 4-6배 빠르고 정확하게 가공 경로를 제공합니다. 별도의 사상공정이 필요 없을 정도로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MS의 가공경로는 많은 프로그램 중에서도 유일한 기술적인 리더로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제 제조업체는 MS의 혁신적인 가공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공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함께 보다 높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모든 Toolpath를 위한 부드러운 가공의 움직임을 컨트롤
User 사용 공구의 등록을 위한 Tool-Library
Toolholder의 Gouge Check
드릴링
테이퍼 공구의 지원
3+2축 가공
황잔삭과 잔삭가공을 위한 Rest machining
평면을 위한 가공
급경사와 완만한 영역을 위한 형상 인식 처리
Batch Processing
Multi Processor의 연산
Dual-System의 지원
 
 
machining STRATEGIST는 일반적으로 1~2일 정도의 교육 후 현장에서 즉시 적용시킬 수 있도록 쉽게 개발된 시스템 입니다.

사용 빈도가 높은 파라메타 값들을 자동으로 계산,작업자의 번거로운 입력작업을 최소로 하면서 상황에 따라 최적의 메뉴들을 대화상자 형식으로 처리, 실행됩니다.

작업공정 브라우저를 통해 작업 진행사항을 쉽게 파악,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전 작업에 대한 History 개념을 가지고 유사한 형상작업에서 간단한 데이터의 수정으로 History의 운영을 따라서 전반적인 데이터를 빠르게 다시 산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도움말은 현재 운영이 되는 대화상자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현 작업에 관련된 내용을 보여줍니다.
또한 하이퍼링크는 온라인 도움말을 보다 쉽고 빠르게 작업자에게 안내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CAM 시스템에서 모델링 Data를 정확하게 읽어 들이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machining STRATEGISTVISI-Series 파일은 물론, IGES, VDA-FS, STL, Parasolid,(옵션) CATIA(옵션) 데이터들을 Direct로 읽어 들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입력된 모델 데이터들의 유효성 여부를 check하여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를 별도로 관리해 줌으로써 작업자는 모델 데이터대한 신뢰를 보장 받게 됩니다.
 
 
machining STRATEGIST는 시각적 효과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 OpenGL 그래픽을 사용합니다. 다양한 방식의 display를 통하여 모델의 이해를 손쉽게 하며, 다이나믹한 회전, 확대, 축소, 이동을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또한 machining STRATEGIST는 모델링 분석을 위한 다양한 방식을 제공 합니다.
치수(크기)/반지름
길이
서페이스의 만곡점
각도
서페이스의 노말 방향

다이나믹한 단면절단 기능을 통하여 모델의 이해를 도와주며, 원래의 모델과 가공되어진 형상을 함께 디스플레이를 시켜서 단면을 절단하여 남아있는 양을 시각적으로 또는 수치적으로 보다 쉽게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고속가공을 지원하기위해서는 가능한 모든 가공 경로에 대해 smoothing한 가공경로를 유지해야 합니다. 만약 smoothing하지 못하면 고속의 이송으로 공구 파손 및 급 가감속으로 인해 사실상 고속가공은 불가능해 집니다.

machining STRATEGIST에서는 필렛 서페이스의 추가 기능을 통하여 smoothing한 가공경로를 생성시킴으로써 고속가공을 유지시킴은 물론 사용공구에 따른 미가공 부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게 합니다.

필렛 서페이스는 광범위하고 상세한 모델에 대하여 심지어 몇초만에 만들어집니다. 필렛 서페이스를 추가함으로써 만들어진 부드러운 가공 움직임을 통하여 가공면 조도의 향상과 공구의 수명 연장 등이 개선되었음을 확실하게 느끼게 될 것입니다.
 
 
모델의 서페이스 간의 격차 또는 오픈된 형상에 공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레이너 패치를 사용하여 면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만약 평면 홀들이 공간의 벡터방향에 있다면 이것 또한 쉽게 막을 수 있습니다.

바운더리를 위한 AB축의 회전을 지정함으로써 공간의 벡터방향에 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평면을 추가하거나 가공을 위해서 벡터값을 지정했을 경우에 자동으로 벡터방향에 대한 바운더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machining STRATEGIST에서는 작업자가 공정에 적용했던 가공 파라메터 값들을 보존하여 사용할 수도 또는 무효로 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공정에 사용되었던 각 세션들을 작업을 완료 후 나갈 때에 작업자가 기본값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의 설정은 일반적인 CNC의 기본 파라메타에서 부터 고속 가공 기계들의 기본 파라메타까지 서로 다른 파라메타들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작업 스타일을 가진 작업자들을 위해서도 다르게 설정하여 작업할 수 있습니다.
즉 여러 개의 기본값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chining STRATEGIST는 멀티 프로세서가 지원이 되는 Windows-NT 환경을 기본 바탕으로 특별하게 개발되었기 때문에 최초 version부터 다중처리(Mutil-Processor)가 지원이 되는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따라서 machining STRATEGIST는 여러 개의 Toolpath 그리고 또 다른 작업공정이 동시 다발적으로 수행됩니다.
싱글 프로세서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하나씩 독립된 작업공정으로 연산이 되며, 듀얼 프로세서 시스템에서는 두 개의 프로세서가 각각 서로 독립되어 자동적으로 두개의 작업공정이 동시에 연산이 진행됩니다.

멀티 운영의 효과적인 연산을 위해 작업공정을 연산대기 열에 넣을 수도 있습니다.

작업공정순서는 작업공정관리자에서 작업자가 연산 처리 순서를 선별 지정한 것을 우선으로 하여 연산처리가 됩니다. 현재 작업되는 공정이 중단되거나 취소가 된다면 작업공정관리자에서 다음 대기공정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연산을 시작합니다.

작업공정우선권설정은 작업자에게 현 작업 공정을 취소 시키지 않고 긴급한 필요하게 된 공정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즉 작업자에게 효율적인 작업공정처리를 하도록 유연성을 제공하여 줍니다.
 
 
machining STRATEGIST의 History-tree 구조는 작업에 대한 각 공정을 연속적으로 기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줍니다.

미리 매크로를 기록하는 것보다 오히려 작업공정이 완료된 것들에서 가공에 필요한 것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또 다른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작업공정을 지속적으로 선택 하여 배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큰 공구의 황삭 공정이 완료되기 전에 바로 작은 공구로 황잔삭 공정을 배치 할 수가 있습니다.
 
 
machining STRATEGIST에서는 수정된 모델을 위해 이전에 실행시킨 모든 작업공정을 한번에 새로운 모델에 다시 반복하게 하는 파워 풀한 방식이 있습니다.

형상이 유사한 경우에도 기존의 작업공정을 선택하여 새로운 모델에 전체적으로 다시 적용하여 하나의 공정으로 적용시키게 됩니다.
 
 
machining STRATEGIST에서는 모델링에서 작성된 Curve들을 바운더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자체 내에서 다양한 바운더리들을 추출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바운더리들은 가공 Passes , 검증 모델 , 평면 등을 만들기 위해 사용 될 수 있으며, 임의의 방향에서 Toopath를 편집하는 경우에도 사용이 됩니다.

모든 바운더리는 3+2축 가공을 위하여 AB축 회전 등을 통하여 임의의 3D 평면상에 만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machining STRATEGIST에서 바운더리를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는 방식
실루엣 바운더리
공구보정 영역바운더리
기울기 영역바운더리
이론적인 잔삭영역바운더리
Passes를 바운더리로 변환
프리 바운더리
사각형/원형 바운더리
True Type Font를 이용한 Text
바운더리 편집
 
이론적인 잔삭영역바운더리
이전에 사용된 공구와 현재 사용할 공구를 비교하여 잔삭에 적용될 미가공영역에 대한 정확한 바운더리를 추출함으로써 미가공부위의 확인은 물론 잔삭이 불필요한 부분을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가공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합니다.
 
공구보정 영역바운더리
선택되어진 서페이스 면들을 공구의 센터 또는 공구의 접점 방식으로 가공 할 수 있으면서 선택되어지지 않은 서페이스 면들에 대하여는 접촉하지 않는 바운더리를 생성합니다. 즉 선정되어진 공구로 서페이스의 원하는 부위만을 가공하기 위하여 사용이 됩니다. 주위의 수직에 가까운 면들이나 기타면들을 Toolpath를 편집할 필요 없이 가공의 영역에서 분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바운더리의 편집
여러 바운더리들을 선택하여 교차영역, 합체영역, 빼기영역, 그리고 최대영역 등의 명령등을 통하여 다시 새로운 바운더리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바운더리를 안쪽, 바깥쪽 옵셋을 할 수도 있습니다.
바운더리 편집명령을 선택하여 마우스를 가지고 각 Node-Point를 빼고 더 할 수도 있으며 마우스를 조작하여 쉽게 각 바운더리를 쉽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기본 공구DB 카다로그에서 툴홀더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또는 작업자가 사용할 툴홀더를 직접 입력하여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필요하다면 네트워크 상에 공구DB 카다로그를 생성하여 저장하여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구의 툴홀더는 복잡한 것에 대하여 어떠한 한계와 제한이 없습니다.
공구 홀더를 지정하여 사용하는 것의 가장 근본적인 장점은 깊은 캐비티 형상을 짧은 공구로 가공 할 경우에 보다 더 깊고 보다 더 빠른 가공속도로 유지하여 능률적인 가공을 하는 것에 있습니다.
 
공구 홀더가 서페이스 면에 닿지 않으며 실질적인 공구의 길이보다 더욱 훨씬 깊이 가공을 할 수 있습니다.
공구 홀더 간섭 체크는 3+2 축 가공의 경우에도 적용이 됩니다.
모든 Toolpath를 연산 할 때 공구 홀더를 지정하게 된다면 자동적으로 공구의 홀더와 형상을 인식하여 간섭 체크를 하게 됩니다.
 
 
모든 가공 옵션들은 일정한 가공 움직임을 지속하여 고속 가공 피드를 유지하면서 정지시간과 공구 마모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제거하는 기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3D 모델을 가공하는 하나의 전략으로 서페이스의 경사각도를 기준으로 제어하여 급경사와 완만한 영역에 대한 바운더리를 생성한 후 가공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가공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모든 Toolpath는 두가지 공정으로서 생성합니다. 입력된 공구와 공구 홀더를 고려하여 Passes 생성하고 , 생성된 Passes에 홈 포지션, 급속이송방식 그리고 진입,진출방식을 적용하여 Linking시켜서 Toolpath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Toolpath의 생성방식은 고유한 몇 가지의 장점이 있습니다.

먼저, 만약 또 다른 링크의 방식이 요구가 된다면 새로운 Passes를 생성하지 않고 최초의 Passes를 사용하여 Linking의 명령만으로 또 다른 Toolpath의 생성이 가능합니다.

둘째로, 만약 최초의 Passes의 편집이 요구가 된다면 Linking 명령에 앞서서 더 많은 제어된 편집과 정돈된 Passes로 수정하여 더 효율적인 Toolpath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Toolpath의 Linking 이동들은 실제 절삭 이외의 이송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가공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machining STRATEGIST는 고속가공기 또는 일반 가공기에 관계없이 공구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가공의 움직임을 보다 더 안정적인 움직임으로 개선하여 전반적인 가공시간을 단축시켜줄 것입니다
 
황삭가공
현재의 작업 모델을 machining STRATEGIST의 황삭 루틴으로 가공을 하게 되면 공구의 수명이 길어지고 절삭 가공 모션이 매끄럽고 부드럽게 처리되는 기술적인 방식을 확인해 볼 수가 있습니다.
황삭의 옵셋 Passes는 형상을 멀리 벗어나지 않으면서 재료의 최대 양을 제거하기 위해서 자동적으로 계산된 특정한 Z 깊이를 만들어서 가공을 합니다.
계단식 형상의 평면을 가공할 때에도 주어진 가공 여유량에 맞도록 형상에 항상 일정한 양을 남기기 위해서 자동적으로 Z 깊이를 연산하여 가공합니다.

Core 황삭의 전략은 전체적 Core를 가공하거나 부분 Core를 가공함에 있어서 절삭가공의 조건을 보다 더욱 잘 유지시키기 위해 형상의 외곽으로부터 진입함으로써 가공을 최적화 시킵니다.
공구의 접촉은 가능하면 공구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집니다.

machining STRATEGIST에서는 가공을 위한 절삭진입에 있어 Helix진입이 불가능하다면 자동적으로 Toolpath의 형상을 따라 Z축으로 각도를 가지고 진입하는 프로파일방식으로 진입을 하게 됩니다.

만약 공구의 파손 가능성이 있는 작은 홀의 가공이 Helix진입이나 프로파일진입으로 Z축으로 진입하는 경우 공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Linking시 사용공구의 직경으로 Passes를 자동적으로 삭제하여 공구 파손을 방지한 후 보다 작은 공구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machining STRATEGIST는 항상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가공조건을 설정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수직으로 공구의 축을 진입하지 않습니다.

절삭가공속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며 정지시간을 없애며 또한 공구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동적으로 부드러운 호를 생성하여 가공합니다.
부드러운 호들로 공구가 형상에 가공 여유량을 더한 값으로 접촉하는 곳에서 가장 이상적인 패스를 생성하도록 변형시켜줍니다.
링크 이동 시, 즉 하나의 옵셋 프로파일에서 다음 프로파일로 이동 시 일정한 절삭 움직임을 유지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호를 생성하여 연결시켜줍니다.
 
황잔삭가공
황삭 가공후 가공된 형상을 인식하여 황삭에서 사용한 공구보다 더욱 작은 공구로 진보된 황잔삭 가공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황잔삭 기능은 황삭시 사용할 공구에 제한을 없애주며, 황삭후 남은 미가공부위의 처리에 대하여 작업자의 부담을 없애 줄 것입니다.

정밀한 황잔삭 Toolpath는 보다 많이 분리될 수가 있기 때문에 급속이송 링크방식으로 각 Passes의 연결을 긴밀하게 억제하여 줍니다.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의 특별한 조작이 없도록 기본적인 값으로 세팅되어 있습니다.
 
사선 가공
사선 가공 패스는 일반적으로 완만한 부위의 정삭 가공 그리고 황삭 공정이후에 중,정삭 가공에 사용됩니다.
가공 방향과 나란한 부위에 대하여 가공 피치가 넓어 지는 것을 보완 하기위해 Cross Machining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바운더리 가공
오픈되거나 닫힌 바운더리 프로파일을 모델링에 프로젝트 시켜서 가공합니다.
또한 조각을 위하여 글자 또는 정확한 선들을 지원하여 조각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등고선 가공
수직 측벽 부위를 가공하기 위한 각도를 지정함으로써 완만한 수평 부위는 더욱 더 가공하기에 알맞은 가공공정을 위하여 등고선 가공에서 제외시키고 가공할 수 있으며, 완만한 영역에 대하여 가공 피치가 넓어 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3D 일정 피치 가공과 연계 시킬 수 있습니다.
 
방사선 가공
일반적으로 패스들이 센터에서 조밀하게 형성되는 것을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는 옵션들을 포함하고 있으며,방사선 가공을 위한 정확한 센터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추출하여 줍니다.
 
나선형 가공
방사선 가공과 유사하지만 모델링 형상을 Archimedean 나선형 Passes를 이루면서 동시에 공구가 일정하게 접촉을 하며 가공을 합니다.
 
몰프드 가공
몰프드 가공은 사용자가 지정한 2, 3개 또는 4개의 불규칙적인 바운더리를 따라 일정하게 흘러가면서 Passes를 생성하여 가공합니다.
 
평면 영역 가공
평면 영역에 대하여 Toroidal 공구를 사용하여 정삭을 하는데 보다 더욱 능률적으로 사용이 됩니다.
또한 바운더리 없이 모델링에서 자동적으로 평면 서페이스들을 추출하여 가공을 할 수 있습니다.
 
3D 일정 피치 가공
가공 Model의 형상에 관계없이 일정한 가공 Pitch를 유지함으로써 일정한 가공면 조도를 얻을 수 있는 가공 방법으로, 특히 Machining STRATEGIST에서는 닫혀진 또는 열려진 영역에서는 물론 모든 가공 Passes들과 연계하여 이 가공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진보된 방식의 Toolpath를 얻게될 것입니다.
 
펜슬가공과 패러럴 펜슬 가공
펜슬가공을 하는 데 있어서 수직한 측벽부위와 완만한 부위에 대하여 가공 방법을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공구의 코너 반경보다 큰 코너형상에 대하여도 passes를 만들 수 있는 옵션이 제공 됩니다.
추가적으로 Multiple 펜슬 가공을 적용함으로써 남아있는 미삭량을 단계적으로 처리하여 정삭 가공 완료할 수 있습니다.
 
잔삭가공
Toolpath가 만들어지면 전 단계 작업에서 가공하지 못한 미가공 영역을 자동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