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품 판매중
아연 다이캐스팅 금형
가격 가격협의
모델명 아연 다이캐스팅 금형
제품분류 금형가공/목형가공
업체명 백두 다이캐스팅
전화번호 0504-0668-1441
등록일 23.01.12
상세설명

다이캐스팅은 재료, 다이캐스팅 설비 및 금형의 3요소로 구성 특히 금형은 다이캐스팅 주조에 모체를 이루고 금형의 품질 및 기능 레벨이 제품의 품질 및 다이캐스팅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입니다.


금형의 설계와 제작에 있어서는 다이캐스팅이 가능한 제품 설계를 함으로써 다이캐스팅이 갖는 특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 -> 제품 설계에 있어서는 충분한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다이캐스팅의 좋은 점을 고객과 교섭하면서 진전 시키는 것이 중요 합니다.

제품 설계를 고려한 금형 설계, 공정 설계, 치공구 설계 등이 필수이며 특히 금형 설계는 다이캐스팅 제품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므로 매우 중요 합니다.

이미지

주형(가동, 고정),  다이블록,  압출판 이중 주형과 다이블록은 통상 몰드베이스로 부르고 있습니다.

금형의 MOLD BASE 는 55C 를 사용 합니다.

이미지

캐비티(CAVITY) 수에  따라서 3가지로 분류 됩니다.
1) 위의 그림과 같은 1캐비티(CAVITY)는 단수캐비티라 불리며 또는 싱글캐비티라 합니다.
2) 2개 이상의 캐비티를 동형 복수 캐비티 금형이라 하며 멀티플 캐비티라고도 합니다.
3) 이형 복수 캐비티라 하여 조합 금형으로 세트로 찍는 경우에 사용되나 형상에 따라서 동일한 회수율을 앋는것이 어려울수 있으며 생산수량에 언밸런스를 가져 올수도 있습니다. 

슬리브, Cavity Core 인서트(고정, 가동), 슬라이드 증자 등 용탕과 접하는 형재료는 조직의 건전성, 기계 가공성, 히트체크에 대한 높은 저항력, 내용손성 이 좋아야 하므로 SKD61 를 사용 합니다.

이미지

다음은 슬라이드 중자  본체,  슬라이드 레일,  리턴핀, 경사핀, 슬라이드 스토퍼   국부적으로 큰 면압을 받고 마찰력이 작용하는 부품 이므로 접동부는 내 마모성과 경도 및 인성을 필요로 하며 
SKD61 를 사용 합니다.

이미지

용해된 아연 합금은 구즈넥을 통해 금형의 캐비티(CAVITY) 내로 흘러들어갑니다.

용해된 아연 합금은 고정 측 금형 안쪽에 위치한 스프루 부시(Sprue bush)을 통과한 후 러너(Runner)를 거쳐 캐비티(Cavity)의 입구인 게이트(Gate)에 도달합니다. 

금형에서 제품과 함께 추출되는 스프루가 만들어지는 곳이 스프루 부시입니다.


마지막으로 밀핀 (이젝터핀) 으로 만들어진 제품을 밀어냄으로써 만들어진 제품을 흐트러짐없이 빼낼 수 있습니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