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설명
DRY COLOR Definition
제조공장에서 생산되는 1차적인 안료(생안료)를 직접 착색시에는 여러가지의 불량요인(분산, 농도, 색상 등)이 발생되며 또한 대부분의 생안료는 원색에 가까워 beige나 ivory 등의 색상 조합시에는 여러 안료를 혼합하여 개발하는 2차 착색 가공을 필요로 한다. 이때 필요한 분산제, 안정제 기타 첨가제 등의 기능성 소재를 고루 섞어 플라스틱 착색에 용이하게끔 처방한 분말상태의 가공안료를 dry color라 한다.
특징
- 모든 수지에 적용이 편리
- 소량도 신속 정확하게 생산가능
- LOT 간 색상편차 최소화
- 사용자 배합기용량에 맞추어 단위포장 공급 ( cf. 비산성에 따른 오염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