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설명
♣ 진행방향에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서 전기장의 방향이 일정한 빛을 편광(polarized light)이라고 한다.
이러한 빛의 전기장의 방향으로 편광의 방향(polarization)을 구별한다.
1809년 E. L. 말뤼스가 이 현상을 발견하였다. 검당계에 의한 당의 정량(定量), 광탄성(光彈性)에 의한 변형력시험 또는 편광현미경, 유리 내부의 변형검사 등 공업계측에도 이용된다
♣ 진행방향에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서 전기장의 방향이 일정한 빛을 편광(polarized light)이라고 한다.
이러한 빛의 전기장의 방향으로 편광의 방향(polarization)을 구별한다.
1809년 E. L. 말뤼스가 이 현상을 발견하였다. 검당계에 의한 당의 정량(定量), 광탄성(光彈性)에 의한 변형력시험 또는 편광현미경, 유리 내부의 변형검사 등 공업계측에도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