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설명
쿨러의 사용 없이도 최적의 토출공기온도 실현
– 100°C 의 초건조 노점 실현
제습타워 변환시 노점 헌팅의 최소화
에너지
절감 순서
1
상변화식에서 75% 수분을 먼저 제거함으로써 흡착식의 에너지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임
2
유량 변화뿐 아니라 일별, 계절별 온도 변화에 연동하여 스스로 운전, 정지하는 상변화식에 의한 절감
3
필요시 (겨울철을 제외한 계절) 상변화식만 단독으로 운전함으로써 전체 에너지 소모량을 대폭 줄임
4
부하에 따라 흡착식 노점 및 사이클타임을 연계하여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줄임
5
점심시간 등 부하가 없을 경우 흡착식 및 상변화식 모두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Zero’
작동원리
상변화식 운전 시스템의 이해
- 1 냉매의 순환을 위해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 팬을 운전시키면 칠러에서 차가워진 냉매가 PCM을 냉각시킨다.
- 2 PCM이 충분히 냉각되어 동결되면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의 팬이 정지된다.
- 3 냉매 순환이 정지된 시간 동안 압축공기는 동결된 PCM에 의해 연속적으로 냉각/제습이 되고 이 시간 동안 전력 소모가 없으므로 에너지가 절약된다.
- 4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열량에 의해 PCM은 점차 녹게 되고, PCM이 모두 녹으면 다시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 팬이 운전하며 PCM을 냉각시키는 과정이 계속 반복된다.
압축공기의 제습
- 1 고온의 포화 압축공기가 드라이어로 유입되면 리히터에서 차가운 출구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1차 냉각된다.
- 2 1차 냉각된 압축공기는 칠러를 통과하며 냉각된 PCM이 녹으면서 2차 열교환을 한다.
- 3 칠러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응축수는 세퍼레이터에서 압축공기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 4 PCM에 의해 냉각된 압축공기는 흡착 타워를 통과하여 보증 이슬점(-40℃ or -70℃) 이하의 압축공기를 생산한다.
- 5 보증 이슬점까지 제습된 압축공기는 상변화식 리히터를 통과하면서 상대 습도를 낮추고 최종적으로 고품질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공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