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품 판매중
메모리 하이코더
가격 가격협의
모델명 MR8847A
제품분류 IC/반도체부품/클린룸
업체명 히오키코리아(주)
전화번호 0504-0667-8306
등록일 18.05.31
상세설명

● 5종류의 유닛(unit)을 신규로 추가, 전체 13유닛에 대응
● 발생과 기록의 2가지 역할을 하나의 장비로 구현, 측정한 이상 파형을 재현하여 출력
● 고전압1000V를 직접 입력하여 측정(1MS/s,16bit 분해능(resolving power)
● 20MS/s의 고속 샘플링, ch간 절연
● 아날로그 16ch+로직표준 16ch〜아날로그 10ch+로직 64ch
● 고속 샘플링을 활용한 파형 판정 기능
● 먼지가 잘 들어가지 않는 구조와 기름때에 강한 코팅된 키보드를 적용해 현장에 강함
● 원터치로 1초면 종이를 리필, 빠른 인쇄 50mm/s

 

메모리 하이코더의 사용 방법:임의 파형발생기와 파형관측을 하나의 장비로

함수발생기(function Generator) 기능과 임의 파형발생기능, 파형측정 기능을 메모리 하이코더 1대로 구현합니다. 신호의 진폭과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각종 파형을 프로그래밍하여 순차로 출력하는 등, 시험조건을 변경하면서 쉽게 파형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하이코더의 사용 방법: 인버터(inverter)의 파형관측_실측편

메모리 하이코더 MR8847A는 최고 샘플링 속도20MS/sec, 전 채널 절연입력(최대 16채널)을 통해 다채로운 파형관측이 가능합니다.
인버터 1차측/ 2차측의 전압과 전류, 토크(torque)나 회전신호 등 , 고전압에서부터 미세전압까지 동시에 많은 현상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기록한 파형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Zoom기능을 통해 화면에 상하로 2분할하여 보고 싶은 부분을 스크롤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하이코더의 사용 방법:인버터의 파형관측_연결편

메모리 하이코더 MR8847A는 전 채널을 절연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 다채로운 신호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아날로그 입력 및 입력채널과 본체 사이는 절연소자를 이용해 절연되어 있습니다. 전류 입력 시에도 센서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전용 유닛을 이용하여 연결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됩니다.

 

 

 

메모리 하이코더의 사용방법:인버터의 파형관측_설정편

메모리 하이코더 MR8847A는 큰 화면에 설정한 내용을 일람으로 표시합니다. 다채널의 입력조건도 입력한 유닛별로 확인하기 쉽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또한 실제 제품을 조작하는 느낌으로 설정을 소개합니다.

 

 

 

메모리 하이코더의 사용방법: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와의 차이

메모리 하이코더 MR8847A는 <절연 입력>과 <다채로운 입력 유닛>을 통해, 인버터의 파형관측을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연결 작업을 구현합니다. 새롭게 추가한 신 유닛 5종은 보다 폭넓은 측정을 지원합니다.

 

 

최고 20MS/s의 고속 샘플링 & 전체 ch 절연 입력

메모리 하이코더 MR8847A는 전 채널을 동시에 20MS/s(분해능 50nsec)의 다채널/ 고속 샘플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펄스(pulse)의 시작 파형이나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이상 동작, 순간 파형을 고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날로그 입력채널 및 입력채널과 본체 간에는 절연소자를 통해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오실로스코프와 같이, 전위차를 신경 쓰지 않고 측정할 수 있습니다.

 

 

파형의 발생과 기록을 하나의 장비로 임의 파형발생 유닛 U8793

함수발생기 기능과 임의 파형발생기능, 파형측정 기능을 메모리 하이코더 1대로 구현합니다. 신호의 진폭과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각종 파형을 프로그래밍하여 순차로 출력하는 등, 시험조건을 변경하면서 쉽게 파형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부속 파형 작성 소프트웨어 SF8000을 사용하면 파형작성 외에 노이즈를 가산하거나 파형의 곱셈 등의 연산도 간단하고 빠르게 실행됩니다.

 

 

차동 프로브(differential probe) 없이 고전압 직접 입력 고압 유닛U8974

최대 전압 DC1000V,AC700V까지 직접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 지금까지 고전압 측정에 이용해야만 했던 차동 프로브는 필요 없습니다. 대지간 최대 정격 전압은 1000V(CATⅢ), 600V(CATⅣ)입니다.

 

 

전체 13종의 풍부한 유닛으로 모든 측정 장소에 대응

요청이 많았던 고성능 유닛을 새롭게 5종 추가하여, 메모리 하이코더를 이용한 계측의 폭이 확대되었습니다.

■ 인버터/ UPS시험
부하변동 시의 동작시험/ 평가, UPS조절 동작의 확인
■ 전력모니터&자동기록기(logger)
전원 ON/OFF 시나 부하 변동 시의 전력 변동, 전력의 장기 변동
■ 제어시뮬레이션
각종 제어신호의 모의출력, 차량 탑재 배터리DC12V의 변동 모의출력
■ 진동/ 내구시험
엔진제어와 진동의 관계, 장비의 내구성의 확인 등

 

 

로직입력 최대 64ch

MR8847A에는 표준으로 로직16ch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로직입력 유닛을 3대까지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64ch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습니다.
전 채널 파형을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순간 측정에 매우 적합합니다.
이와 더불어 아날로그 파형 기록도 최대 10ch까지 동시에 기록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데이터를 확실하게 기록

용도에 맞추어 데이터의 기록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메모리 기능
설정한 주기로 샘플링을 하고 전체 데이터를 기록합니다.
● 레코더 기능
설정한 주기로 샘플링을 하고, 최대값과 최소값 이외의 데이터를 선별하여 기록합니다.

 

 

FFT분석기능

주파수 성분의 분석 등을 하는 1신호 FFT, 전달 함수 등을 분석하는2신호 FFT 또는 음향 분석에 이용되는 옥타브 분석 기능이 있습니다.

 

 

전자 기록X-Y 레코더

시간별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는 종이로 보관해야 했던 기록을 전자데이터로 보관할 수 있습니다.
X-Y기록 중 펜의 업/ 다운 제어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만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기계식 펜 레코더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파형의 적절성 판정이 가능

수익이 더해진 판정 영역에서 벗어났는지를 감시하는 파형 판정 기능을 통해 적절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신호 파형도 간단히 판정할 수 있습니다. FFT 분석 파형이나 X-Y파형에 대한 파형 판정 기능도 탑재되어 있습니다.